이지승(李祉承)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9C0C2B9B1736X0 |
자(字) | 경조(景祖) |
생년 | 1736(영조 12)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연안(延安)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이만회(李萬恢) |
외조부 | 정응상(鄭應尙) |

[상세내용]
이지승(李祉承)
1736년(영조 12)∼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경조(景祖).
부친은 참판 이만회(李萬恢)이며, 모친은 정응상(鄭應尙)의 딸이다.
1755년(영조 3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지평‧정언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상소를 올려 임금의 공평무사한 마음과 정책이 백성에게 큰 혜택을 준다고 강조하기도 하였으며, 편당하지 말고 인재라면 누구든지 조정에 나올 수 있는 등용책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송명흠(宋明欽)에 대하여 휼전(恤典)을 베풀기를 주청해서 실행하게 하였다.
편서로 『춘방고사(春坊故事)』가 있다.
부친은 참판 이만회(李萬恢)이며, 모친은 정응상(鄭應尙)의 딸이다.
1755년(영조 3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지평‧정언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상소를 올려 임금의 공평무사한 마음과 정책이 백성에게 큰 혜택을 준다고 강조하기도 하였으며, 편당하지 말고 인재라면 누구든지 조정에 나올 수 있는 등용책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송명흠(宋明欽)에 대하여 휼전(恤典)을 베풀기를 주청해서 실행하게 하였다.
편서로 『춘방고사(春坊故事)』가 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國朝榜目
[집필자]
조병로(趙炳魯)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