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우형(李宇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6B0D615B1731X0
자(字)유평(幼平)
생년1731(영조 7)
졸년1803(순조 3)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이명하(李明夏)

[상세내용]

이우형(李宇炯)
1731년(영조 7)~1803년(순조 3).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유평(幼平)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증조부는 이송년(李松年)이고, 조부는 이성유(李聖裕)이다. 부친 진사(進士) 이명하(李明夏)와 모친 임재춘(林再春)의 딸 진천임씨(鎭川林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1785년(정조 9)에 임금에게 상소를 올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죽임을 당한 김저(金䃴)의 억울함을 호소하면서 관작과 시호를 하사해줄 것을 건의하였다. 1794년(정조 18) 정시에서 병과 9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다.

1795년(정조 19)에는 임금에게 상소를 올려 곡식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서 수차(水車)를 이용하여 물 푸는 방법을 널리 전파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800년(순조 즉위년)에 산릉(山陵) 등에 대하여 근거 없는 말로 택일(擇日)을 한 이유로 울진현(蔚珍縣)으로 유배되었다.

[참고문헌]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