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기만(南基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AE30B9CCB1730X0
자(字)백온(伯溫)
호(號)묵산(黙山)
생년1730(영조 6)
졸년1796(정조 20)
시대조선후기
본관영양(英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남국규(南國珪)
외조부이정일(李廷一)
출신지영해
저서『묵산집』

[상세내용]

남기만(南基萬)
1730년(영조 6)∼1796년(정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백온(伯溫), 호는 묵산(黙山). 영해 출신.

부친은 남국규(南國珪)이며, 모친은 이정일(李廷一)의 딸이다.

1753년(영조 29) 소과에 합격한 뒤, 묵산재(黙山齋)를 짓고 학문에만 전념하여 경학에 정통하였다.

그뒤 1774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주서가 되고 장릉별검을 거쳐, 1786년(정조 10) 전적, 1788년 감찰을 역임하였다.

1795년 왕이 특별히 경학에 밝은 자를 찾자 영남에서 이만운(李萬運)과 함께 등정하여 이듬해 정언에 제수되었다.

그때 환곡의 폐단을 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수령을 잘 선택하여야 하며, 「서명(西銘)」이 임금의 도에 가장 절실한 것이니 이황(李滉)이 그것을 도표로 그려 선조에게 바친 것과 같이 가법(家法)으로 삼을 것이며, 또한 천주교를 탄압하자는 등 시폐에 대한 상소를 올렸다.

그러나 이를 싫어하는 대신(臺臣) 이태현(李泰賢) 등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경학에 밝아 뜻과 행동과 문예가 잘 조화되어 있었고, 성력도수참동계납갑지법(星曆度數參同契納甲之法)에 통달하였다.

저서로는 『묵산집』이 있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國朝榜目
黙山集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대표명남기만(南基萬)
성명남기만(南基萬)

성명 : "남기만(南基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祭謄錄n1-6책直講金 致泳崔鵬海工正金重燮禮正李重禮佐朴興福典籍南基萬尹孝寬 文光瑞金德老金致簡廟司學諭金初燮掌牲令牲直
祭謄錄n1-6책引儀安秀民懿昭廟同祭獻官衣僉鄭存玉典祀官兼大祝典籍南基萬贊者僕主洪旭 浩謁者用副奉鄭在寬
祭謄錄n1-6책者圃直姜文岳孝陵同祭獻官司直李昌漢典祀官兼大祝典籍南基萬贊者訓判鄭麟 采謁者饔奉柳範休康陵同祭獻官司直李勉
祭謄錄n1-6책者軍直徐有年泰陵同祭獻官司直李昌■典祀官兼大祝典籍南基萬贊者宰主柳 煥謁者牲直朴宗祿穆陵同祭獻官司直閔■■
祭謄錄n1-6책持淳引儀成元柱贊引 兼引李孝達鄭熙濟祭監監察趙景鎭南基萬
祭謄錄n1-6책齋郞僕主金在明贊者假引秦潚謁者引儀李膺福祭監監察 南基萬景慕宮同祭獻官司直尹尙東典祀官奉主李顯采宮司直長李
祭謄錄n1-6책官學諭金初燮廟司學正金 致正大祝學正車鳳運祭監監察南基萬啓曰今此文宣王釋奠祭初獻官以行副司直李文源塡差矣今
祭謄錄n1-6책郞用主洪最 榮贊者兼引金在儉謁者假引李英孝祭監監察南基萬永祐園秋夕祭獻官司直金憙典祀官兼大祝司果李顯默贊者
祭謄錄n1-6책持淳贊引 二 兼引李孝達假引李英孝祭監 二 監 察南基萬趙景鎭宣陵遣大臣攝行告由祭獻官昌城尉黃仁點典祀官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