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치권(申致權)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0CE58AD8CB1722X0
자(字)이중(而中)
생년1722(경종 2)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고령(高靈)
활동분야문신
신택수(申宅洙)

[상세내용]

신치권(申致權)
1722년(경종 2)~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이중(而中)이다.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증조부는 신응징(申應澄)이고, 조부는 신도(申濤)이다. 부친 성균생원(成均生員) 신택수(申宅洙)와 모친 황하영(黃夏英)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보(李普)의 딸이다.

1756년(영조 32) 식년시에서 진사 3등 32위로 합격하였고, 1773년(영조 49) 증광시 문과에 병과 28위로 급제하였으며, 지평(持平)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조판서(吏曹判書) 조명정(趙明鼎)의 파직을 건의하였다가, 정언(正言) 이홍제(李弘濟)로부터 사사로운 감정에 휘말려서 근거도 없이 모함을 하였다는 죄명으로 탄핵을 당하였다. 1779년(정조 3) 지평으로 재직 중, 임금에게 상소를 올려서 세금 제도의 폐해를 지적하기도 하였다. 이후 장령(掌令)‧헌납(獻納) 등을 역임하였다.

1784년(정조 8) 좌통례(左通禮)의 소임을 수행하여, 품계를 올려 받았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司馬榜目
英祖實錄
正祖實錄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