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필(許佖)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D5C8D544FFFFB1709X0 |
자(字) | 여정(汝正) |
호(號) | 초선(草禪) |
호(號) | 구도(舊濤) |
생년 | 1709(숙종 35) |
졸년 | 1761(영조 37)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양천(陽川) |
활동분야 | 학자 > 유생 |

증조부 | 허열(許悅) |
저서 | 『선사창수록(仙槎唱酬錄)』 |

[상세내용]
허필(許佖)
1709년(숙종 35)∼1761년(영조 37). 조선 중기의 학자‧서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여정(汝正), 호는 연객(烟客)‧초선(草禪)‧구도(舊濤). 지평 허열(許悅)의 증손이다.
1735년(영조 1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을 가지지 않고 학문과 시‧서‧화에 전념하여 당시에 삼절(三絶)로 불리었다. 이용휴(李用休)가 쓴 허필의 지명(誌銘)에는 청빈하고 소탈한 성격과 문학과 고예술품(古藝術品)을 사랑하는 태도가 잘 묘사되어 있으며, 또한 모든 서체(書體)에 능통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전서(篆書)와 예서(隷書)에 뛰어났다고 하였다.
산수‧영모 등의 그림을 그렸으며 산수화는 명대(明代) 심주(沈周)의 양식을 따랐다고 한다. 지금 전하는 몇 폭의 그림들은 명대 오파(吳派) 또는 미가(米家)산수양식의 특징을 보이는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남종화라고 할 수 있다.
저서로는 『선사창수록(仙槎唱酬錄)』과 『연객유고』가 있다.
1735년(영조 1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관직을 가지지 않고 학문과 시‧서‧화에 전념하여 당시에 삼절(三絶)로 불리었다. 이용휴(李用休)가 쓴 허필의 지명(誌銘)에는 청빈하고 소탈한 성격과 문학과 고예술품(古藝術品)을 사랑하는 태도가 잘 묘사되어 있으며, 또한 모든 서체(書體)에 능통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전서(篆書)와 예서(隷書)에 뛰어났다고 하였다.
산수‧영모 등의 그림을 그렸으며 산수화는 명대(明代) 심주(沈周)의 양식을 따랐다고 한다. 지금 전하는 몇 폭의 그림들은 명대 오파(吳派) 또는 미가(米家)산수양식의 특징을 보이는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남종화라고 할 수 있다.
저서로는 『선사창수록(仙槎唱酬錄)』과 『연객유고』가 있다.
[참고문헌]
槿域書畵徵
韓國繪畵大觀(劉復烈, 文敎院, 1969)
韓國繪畵大觀(劉復烈, 文敎院, 1969)
[집필자]
이성미(李成美)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