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광사(李匡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D11C0ACB1705X0
자(字)도보(道甫)
호(號)수북(壽北)
생년1705(숙종 31)
졸년1777(정조 1)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학 > 문인
이진검(李眞儉)
저서『원교서결(圓嶠書訣)』
저서『원교집선(圓嶠集選)』

[상세내용]

이광사(李匡師)
1705년(숙종 31)∼1777년(정조 1). 조선 중기의 문인서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도보(道甫), 호는 원교(圓嶠) 또는 수북(壽北). 예조판서를 지낸 이진검(李眞儉)의 아들이다.

소론이 영조의 등극과 더불어 실각함에 따라 벼슬길에 나가지 못하였으며, 50세 되던 해인 1755년(영조 31) 소론일파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진도로 귀양가서 그곳에서 일생을 마쳤다. 정제두(鄭齊斗)에게 양명학(陽明學)을 배웠고, 윤순(尹淳)의 문하에서 필법을 익혔다.

시‧서‧화에 모두 능하였으며, 특히 글씨에서 그의 독특한 서체인 원교체(圓嶠體)를 이룩하고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림은 산수와 인물‧초충(草蟲)을 잘 그렸다. 인물에서는 남송원체화풍(南宋院體畵風)의 고식(古式)을 따랐으나, 산수는 새롭게 유입된 오파(吳派)의 남종화법(南宗畵法)을 토대로 소박하면서 꾸밈없는 문인취향의 화풍을 보였다.

대표작으로 「행서4언시(行書四言詩)」(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와 1746년 오대(五代)의 인물화가 왕제한(王齊翰)을 임모하여 그렸다는 「고승간화도(高僧看畵圖)」(간송미술관 소장)와 「산수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이 있으며, 서예의 이론을 체계화시킨 『원교서결(圓嶠書訣)』을 비롯하여 『원교집선(圓嶠集選)』 등의 저서를 남겼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韓國繪畵大觀(劉復烈, 文敎院, 1969)
韓國의 美 6―書藝―(任昌淳監修, 中央日報社, 1981)
東垣先生蒐集文化財―繪畵―(國立中央博物館, 1984)

[집필자]

홍선표(洪善杓)
대표명이광사(李匡師)
광사(匡師)
성명이광사(李匡師)
원교(圓嶠), 이원교(李圓嶠)

성명 : "이광사(李匡師)"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政堂故事v3親鞫姑停世良應井淸風地遣都事處絞二十九日親鞫羅將金興道及金象九以毒殺尙白竝處斬晦日傳曰罪人尹得貞得明李匡師依本律擧行罪人朴混源無他端緖通川定配罪人李陽祚無他端緖長鬐定配陽祚爲尙白所引以爲同通逆謀令通和於其兄
政堂故事v3拿來各刑二三次不服仍還配傳曰罪人申致雲與尙白相親名出逆招而觀其爲人無恒人樣子參酌興海定配罪人金潤四次李匡師二次富寧安置尹得貞得明濟州安置趙廷魯下秋曹湖西定配傳曰親鞫姑罷明日本府推鞫掌令任希敎副學吳遂采箚子請
政堂故事v3三月六日親鞫更始尹尙白前應校李匡師拿鞫罪人李修敬林慶鎭尹得三尹得九拿來傳曰朴文秀勿待命親臨崇禮門樓百官序立大迎不道光喆凌遲處斬禁都金弘
政堂故事v6職不可不侵臺職遂命下獄勘律旣而命削職又除洪樂命爲獻納洪亦連啓亦命下獄於是掌令鄭恒齡入而停啓也諫院又有李匡師鞠問之啓蓋以眞儒之姪有可問之事也上以爲匡師元無可問之端亦命停之乃除承旨宋文載爲大諫入侍不停而連之乃命
國朝捷錄v01公吏判栢谷父監司緻金昌協仲和農岩李端相女朴世堂西溪判書泰輔父父參判炡祖判書東善曾祖應川朴世采和叔南溪李匡師道甫圓橋金鎭圭達甫竹泉斗恒曾祖
國朝捷錄v01觀徵國賓芹谷李潊玉浻夏鎭子尹淳仲和白下吏判梧陰五代孫尹斗緖孝彦恭齋善道曾孫進士李宜炳梧亭進縣監字文仲李匡師進士見文章正英曾孫眞伩儒子朴弼琦稚圭無臭翁奉朝賀柳赫然德章從祖武判書統制使孝源五代祖尹汲梧陰後判書金
東國續修文獻錄v1賓芹谷延安人奉朝賀李漵玉洞尹斗緖孝彥進士尹淳仲和白下海平人宋日中松齋奉事李日三省吾齋壽大報市西壇進士李匡師圓嶠○補遺柳辰仝晉州人判書書京崇禮門崔澱栗谷門人楊浦海州人李源祚周賢凝窩星山人判禁○續修金正喜元春
國朝人物志v3監司重修子規樓尋舊址未獲忽火起延燒五戶而止址礎俱露乃克工役筆法甚妙白下尹淳圓嶠李匡師曰後成名家金剛山石刻妙吉祥水原有遲遲臺碑官至判敦寧府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