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용(南景容)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0A8ACBDC6A9B1704X0 |
자(字) | 백근(伯謹) |
생년 | 1704(숙종 30)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의령(宜寧) |
활동분야 | 문신 |

부 | 남격(南格) |

[상세내용]
남경용(南景容)
1704년(숙종 30)~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백근(伯謹)이다. 본관은 의령(宜寧)이고, 출신지는 강원도 춘천(春川)이다.
부친은 남격(南格)이고, 동생은 남상용(南尙容)‧남우용(南友容)이다.
1741년(영조 17) 식년시에 생원 3등 11위로 입격하였다.
1753년(영조 29) 3월에 제릉참봉(齊陵參奉)으로 임명되었고, 1755년(영조 31) 12월에 종묘부봉사(宗廟副奉事)로 임명되었다. 1762년(영조 38) 6월에 동궁(東宮)을 보호하고 노론(老論)을 제거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언급하여 백성들을 미혹시켰다는 혐의를 받아서 엄홍복(嚴弘福)‧유채(柳綵) 등과 함께 국문(鞠問)을 받았다. 1790년(정조 14) 2월에 손자인 유학(幼學) 남백승(南百昇)이 억울하게 죄적(罪籍)에 올라가 있는 조부의 이름을 제거해 달라는 내용으로 상언(上言)을 올려서 윤허를 받아 복관(復官)되었다.
부친은 남격(南格)이고, 동생은 남상용(南尙容)‧남우용(南友容)이다.
1741년(영조 17) 식년시에 생원 3등 11위로 입격하였다.
1753년(영조 29) 3월에 제릉참봉(齊陵參奉)으로 임명되었고, 1755년(영조 31) 12월에 종묘부봉사(宗廟副奉事)로 임명되었다. 1762년(영조 38) 6월에 동궁(東宮)을 보호하고 노론(老論)을 제거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언급하여 백성들을 미혹시켰다는 혐의를 받아서 엄홍복(嚴弘福)‧유채(柳綵) 등과 함께 국문(鞠問)을 받았다. 1790년(정조 14) 2월에 손자인 유학(幼學) 남백승(南百昇)이 억울하게 죄적(罪籍)에 올라가 있는 조부의 이름을 제거해 달라는 내용으로 상언(上言)을 올려서 윤허를 받아 복관(復官)되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英祖實錄
正祖實錄
承政院日記
英祖實錄
正祖實錄
承政院日記
[집필자]
노인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