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중(李思重)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0ACC911B1698X0 |
자(字) | 사고(士固) |
생년 | 1698(숙종 24) |
졸년 | 1733(영조 9)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한산(韓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이사중(李思重)
1698년(숙종 24)∼1733년(영조 9).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사고(士固)이다. 본관은 한산(韓山)이고, 거주지는 충청남도 공산(公山: 현 공주(公州))이다.
문정공(文靖公) 이색(李穡)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 이태연(李泰淵)이고, 조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 이만직(李萬稷)이며, 부친 통훈대부(通訓大夫) 전행사복시주부(前行司僕寺主簿) 이수보(李秀輔)의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이사홍(李思弘)이다. 부인은 순흥부사(順興府使) 송상유(宋相維)의 딸 은진송씨(恩津宋氏)이다.
타고난 자질이 영특하였으며, 자라서는 사람들과 담론(談論)하기를 즐겨하였다. 일찍이 노자(老子) 책 읽기를 좋아하였으나 자라서 성현들의 책을 읽으면서부터는 더 이상 노자 책을 보지 않았다. 배움에 있어서는 문장을 짓는 일에 구속되지 않고 옛 성인들이 말한 글의 참뜻을 이해하는 데 힘썼다. 1729년(영조 5) 식년시 생원 2등 4위로 합격하였으며, 관직은 의릉재랑(懿陵齋郞)을 지냈다. 세상에서 장차 쓰일 기미가 없자 그 후 종신토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함께 깊이 교유한 인물로 강한유로(江漢遺老) 황경원(黃景源)‧문청공(文淸公) 남유용(南有容)‧문간공(文簡公) 이천보(李天輔) 등이 있다.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규영(李奎英)‧이규량(李奎亮)‧이규응(李奎應)이다.
묘는 충청남도 공주에 있다.
문정공(文靖公) 이색(李穡)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 이태연(李泰淵)이고, 조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 이만직(李萬稷)이며, 부친 통훈대부(通訓大夫) 전행사복시주부(前行司僕寺主簿) 이수보(李秀輔)의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이사홍(李思弘)이다. 부인은 순흥부사(順興府使) 송상유(宋相維)의 딸 은진송씨(恩津宋氏)이다.
타고난 자질이 영특하였으며, 자라서는 사람들과 담론(談論)하기를 즐겨하였다. 일찍이 노자(老子) 책 읽기를 좋아하였으나 자라서 성현들의 책을 읽으면서부터는 더 이상 노자 책을 보지 않았다. 배움에 있어서는 문장을 짓는 일에 구속되지 않고 옛 성인들이 말한 글의 참뜻을 이해하는 데 힘썼다. 1729년(영조 5) 식년시 생원 2등 4위로 합격하였으며, 관직은 의릉재랑(懿陵齋郞)을 지냈다. 세상에서 장차 쓰일 기미가 없자 그 후 종신토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함께 깊이 교유한 인물로 강한유로(江漢遺老) 황경원(黃景源)‧문청공(文淸公) 남유용(南有容)‧문간공(文簡公) 이천보(李天輔) 등이 있다.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규영(李奎英)‧이규량(李奎亮)‧이규응(李奎應)이다.
묘는 충청남도 공주에 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江漢集
江漢集
[집필자]
이원배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