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석조(鄭錫祚)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11DC870B1673X0
자(字)윤경(胤卿)
생년1673(현종 14)
졸년1714(숙종 40)
시대조선중기
본관동래(東萊)
활동분야문신 > 문신

[상세내용]

정석조(鄭錫祚)
1673년(현종 14)∼1714년(숙종 40).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윤경(胤卿)이다. 본관은 동래(東萊)이고, 거주지는 한양(漢陽)이다.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예조참판(禮曹參判) 정만화(鄭萬和)이며, 조부는 증이조참판(贈吏曹參判) 정재해(鄭載海)이다. 부친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정시선(鄭是先)의 4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정석년(鄭錫年)‧정석범(鄭錫範)과 서제 정석현(鄭錫賢)이 있다. 부인은 수원부사(水原府使) 김유(金楺)의 딸 청풍김씨(淸風金氏)이다.

1699년(숙종 25) 증광시 진사 3등 53위로 합격한 후 정시(庭試)에 나아가려 하였으나, 과거시험장이 지나치게 어지러워져 도를 넘어서자 더 이상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그 후 천거로 관직에 나아가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고산현감(高山縣監) 등을 역임하였다. 장례원사평을 지낼 때는 공평하고 바른 판결로 송사에 있어서 원망하는 사람이 없었으며, 다스리기 어렵다고 소문난 고산현감 시절에는 몇 년 동안 잘 다스려 풍속이 아름다운 고을로 이름이 나게 만들었다.

풍채와 기골이 우뚝하고, 어려서부터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도량을 지녔다. 그러나 강직한 성품으로 평생 사람들과 교유하는 것을 즐겨하지는 않았다. 문장에도 뛰어났는데, 특히 대구(對句)로 이루어진 변려문(騈儷文)에 뛰어났다.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정신검(鄭愼儉)이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艮齋集

[집필자]

이원배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