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령(李三齡)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0BCB839B1671X0 |
자(字) | 수천(壽千) |
생년 | 1671(현종 12)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함평(咸平)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이한형(李漢馨) |

[상세내용]
이삼령(李三齡)
1671년(현종 12)~미상. 자는 수천(壽千)이고, 본관은 함평(咸平)이다.
증조부는 이지호(李之浩)이고, 조부는 이식(李栻)이며, 부친은 이한형(李漢馨)이다. 외조부는 정진서(鄭震瑞)이다.
1705년(숙종 31) 식년시 병과에 13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등을 역임하였다.
1722년(경종 2)에 희빈장씨(禧嬪張氏)가 사사(賜死)되며 발생한 1701년(숙종 27) 신사년(辛巳年) 옥사(獄事)와 관련된 인물들의 신원(伸寃)을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또 1725년(영조 1)에 상소를 올려 1721년(경종 1)과 그 다음 해에 노론(老論)이 대거 숙청되었던 신임사화(辛壬士禍)가 억울한 사건이었음을 주장하다가 영사(領事) 민진원(閔鎭遠)의 논핵으로 인해 유배되었다. 1727년(영조 3) 유배지에 안치(安置)되어 있다가 왕의 명으로 석방되었다.
증조부는 이지호(李之浩)이고, 조부는 이식(李栻)이며, 부친은 이한형(李漢馨)이다. 외조부는 정진서(鄭震瑞)이다.
1705년(숙종 31) 식년시 병과에 13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등을 역임하였다.
1722년(경종 2)에 희빈장씨(禧嬪張氏)가 사사(賜死)되며 발생한 1701년(숙종 27) 신사년(辛巳年) 옥사(獄事)와 관련된 인물들의 신원(伸寃)을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또 1725년(영조 1)에 상소를 올려 1721년(경종 1)과 그 다음 해에 노론(老論)이 대거 숙청되었던 신임사화(辛壬士禍)가 억울한 사건이었음을 주장하다가 영사(領事) 민진원(閔鎭遠)의 논핵으로 인해 유배되었다. 1727년(영조 3) 유배지에 안치(安置)되어 있다가 왕의 명으로 석방되었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景宗實錄
英祖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집필자]
유치석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