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령(李泰齡)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D0DCB839B1654X0 |
자(字) | 대수(大叟) |
생년 | 1666(현종 7) |
졸년 | 1685(숙종 1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학자 > 유생 |


[상세내용]
이태령(李泰齡)
1666년(현종 7)∼1685년(숙종 11). 조선 중기 학자. 자는 대수(大叟)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경기도 부평(富平)이다.
효종의 아들 정효공(靖孝公) 이보(李補)의 후손으로, 고조는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증예조참판(贈禮曹參判) 이경운(李卿雲)이고, 증조부는 경양도찰방(景陽道察訪) 증사헌부집의(贈司憲府執義) 이광필(李光泌)이며, 조부는 이이현(李頤賢)이다. 부친은 통덕랑(通德郞) 이만기(李萬基)이고, 생부는 통덕랑 이만견(李萬堅)이다. 부인은 현감(縣監) 김진명(金晉明)의 딸 청풍김씨(淸風金氏)이다.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스승 송시열로부터 타고난 그릇이 남달라 부지런히 학문에 힘쓰라는 칭찬을 들었다. 송시열이 제주(濟州)로 유배를 가서 사사(賜死)를 당하자, 족부(族父) 이만형(李萬亨)과 함께 스승의 억울함을 씻어 주고자 하여 상소를 올렸다.
1690년(숙종 16) 식년시 진사 2등 25위로 합격하였다.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문과 급제한 이흥종(李興宗)이다.
효종의 아들 정효공(靖孝公) 이보(李補)의 후손으로, 고조는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증예조참판(贈禮曹參判) 이경운(李卿雲)이고, 증조부는 경양도찰방(景陽道察訪) 증사헌부집의(贈司憲府執義) 이광필(李光泌)이며, 조부는 이이현(李頤賢)이다. 부친은 통덕랑(通德郞) 이만기(李萬基)이고, 생부는 통덕랑 이만견(李萬堅)이다. 부인은 현감(縣監) 김진명(金晉明)의 딸 청풍김씨(淸風金氏)이다.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스승 송시열로부터 타고난 그릇이 남달라 부지런히 학문에 힘쓰라는 칭찬을 들었다. 송시열이 제주(濟州)로 유배를 가서 사사(賜死)를 당하자, 족부(族父) 이만형(李萬亨)과 함께 스승의 억울함을 씻어 주고자 하여 상소를 올렸다.
1690년(숙종 16) 식년시 진사 2등 25위로 합격하였다.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문과 급제한 이흥종(李興宗)이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江漢集
江漢集
[집필자]
이원배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