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세도(朴世衜)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138B3C4B1651X0
자(字)행언(行彦)
호(號)하계(何溪)
호(號)봉산거사(鳳山居士)
생년1651(효종 2)
졸년1727(영조 3)
시대조선중기
본관밀양(密陽)
활동분야학자 > 유생

[상세내용]

박세도(朴世衜)
1651년(효종 2)∼1727년(영조 3). 조선 중기 학자. 자는 행언(行彦)이고, 호는 하계(何溪)‧봉산거사(鳳山居士)이다.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거주지는 경상북도 울산(蔚山)이다.

조부는 박현(朴晛)이고, 부친 박창우(朴昌宇)와 모친 주부(主簿) 정양필(鄭良弼)의 딸 오천정씨(烏川鄭氏) 사이에서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박세현(朴世衒)이다.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83년(숙종 9) 증광시 생원 3등 38위로 합격하였다. 성균관에 들어가서 학문을 닦던 중, 관직에 마음이 없어 중간에 학성(鶴城) 봉황산(鳳凰山) 아래에 봉산정사(鳳山精舍)를 짓고 은거하며 학문에 정진하며 후학들을 가르치는 일에 힘썼다. 향리에서 정몽주(鄭夢周)‧이언적(李彦迪)을 모시기 위한 구강서원(鷗江書院)을 짓자 숙종에게 사액(賜額)을 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문집으로 『하계문집(何溪文集)』 2권 1책이 전하는데, 문집 가운데 주목할 작품으로 「봉산정사기(鳳山精舍記)」‧「계칠자설(戒七子說)」‧「동경회고(東京懷古)」 등이 있다.

[참고문헌]


[집필자]

홍현성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