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생(李命生)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BA85C0DDU9999X0 |
자(字) | 응기(應期) |
생년 | ?(미상)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관료 |

부 | 이요년(李堯年) |
조부 | 이우손(李佑孫) |
증조부 | 이온(李蒕) |
처부 | 봉현달(奉賢達) |
외조부 | 안처명(安處明) |

[상세내용]
이명생(李命生)
생졸년 미상.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응기(應期).
증조부(曾祖父)는 제천군(堤川君) 이온(李蒕)이고, 조부(祖父)는 금란정(金蘭正) 이우손(李佑孫)이며, 부(父)는 이요년(李堯年)이다.
외조부(外祖父)는 안처명(安處明)이고, 처부(妻父)는 봉현달(奉賢達)이다.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8등으로 급제하여 사직(司直)을 거쳐 첨정(僉正)을 지냈다.
1584년(선조 17)에는 영상 박순(朴淳)의 계사(啓辭)에 따라 서용되었으며, 1588년(선조 21)에는 별좌(別坐)로서 다음과 같은 상소(上疏)를 비밀리에 입계(入啓)하였다.
“옛날 탕왕(湯王)이 갈백(葛伯)과 이웃 나라가 되었을 때, 한 동자(童子)를 죄 없이 살해하였다 하여 갈백을 정벌하였는데, 하물며 일본은 우리나라의 오래된 이웃이겠습니까. 지금 그 주인이 폐위되어 재변이 비상한데, 어찌 그곳 사신을 접견하여 우리의 예의 있는 군신(君臣)을 모욕할 수 있겠습니까. 전토(田土)를 다투던 우(虞)‧예(芮)가 감히 문왕(文王)의 조정에 들어서지 못하였는데, 주인을 폐위시킨 왜노(倭奴)가 우리 전하의 빈연(賓筵)을 욕되게 한다면 장차 무엇으로써 사람들을 감동시켜 장래의 권계(勸戒)를 삼겠습니까. 또한 세견례(歲遣例)를 핑계로 틈을 보아 흉계를 도모하려는 술책이 없다고 어떻게 보장하겠습니까. 그들의 짐승과 같은 마음을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장래의 환란(患亂)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으니, 일단 그곳 사신을 구류하고 명나라에 알려서 육사(六師)를 동원시켜 정벌하는 것이 천하 만세의 공통된 의리(義理)입니다.”
증조부(曾祖父)는 제천군(堤川君) 이온(李蒕)이고, 조부(祖父)는 금란정(金蘭正) 이우손(李佑孫)이며, 부(父)는 이요년(李堯年)이다.
외조부(外祖父)는 안처명(安處明)이고, 처부(妻父)는 봉현달(奉賢達)이다.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8등으로 급제하여 사직(司直)을 거쳐 첨정(僉正)을 지냈다.
1584년(선조 17)에는 영상 박순(朴淳)의 계사(啓辭)에 따라 서용되었으며, 1588년(선조 21)에는 별좌(別坐)로서 다음과 같은 상소(上疏)를 비밀리에 입계(入啓)하였다.
“옛날 탕왕(湯王)이 갈백(葛伯)과 이웃 나라가 되었을 때, 한 동자(童子)를 죄 없이 살해하였다 하여 갈백을 정벌하였는데, 하물며 일본은 우리나라의 오래된 이웃이겠습니까. 지금 그 주인이 폐위되어 재변이 비상한데, 어찌 그곳 사신을 접견하여 우리의 예의 있는 군신(君臣)을 모욕할 수 있겠습니까. 전토(田土)를 다투던 우(虞)‧예(芮)가 감히 문왕(文王)의 조정에 들어서지 못하였는데, 주인을 폐위시킨 왜노(倭奴)가 우리 전하의 빈연(賓筵)을 욕되게 한다면 장차 무엇으로써 사람들을 감동시켜 장래의 권계(勸戒)를 삼겠습니까. 또한 세견례(歲遣例)를 핑계로 틈을 보아 흉계를 도모하려는 술책이 없다고 어떻게 보장하겠습니까. 그들의 짐승과 같은 마음을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장래의 환란(患亂)이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으니, 일단 그곳 사신을 구류하고 명나라에 알려서 육사(六師)를 동원시켜 정벌하는 것이 천하 만세의 공통된 의리(義理)입니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朝鮮王朝實錄
朝鮮王朝實錄
[집필자]
이채경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