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삼우(三愚)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0BCC6B0FFFFB1622X0
호(號)취여(醉如)
생년1622(광해군 14)
졸년1684(숙종 10)
시대조선중기
활동분야종교 > 불교인
출신지강진현(康津縣) 보암방(寶巖坊)

[상세내용]

삼우(三愚)
1622년(광해군 14)∼1684년(숙종 10). 조선시대의 선승(禪僧). 대흥사(大興寺) 13종사(宗師)가운데 1인. 호는 취여(醉如), 성은 정씨(鄭氏). 강진현(康津縣) 보암방(寶巖坊) 출신.

어려서 출가하여 만덕산 백련사(白蓮社)에서 승려가 되었다.

그뒤 전국의 명산을 다니면서 불교를 비롯한 내외전(內外典)을 공부하였고, 경열(敬悅)의 법문을 듣고 크게 깨달아, 휴정(休靜)태능(太能)경열로 전해진 법맥(法脈)을 이어받았다.

특히, 담론(談論)을 잘하여 듣는 이들을 모두 설복시켰다고 한다. 대흥사 상원루(上院樓)에서 『화엄경』의 종지(宗旨)를 강설했을 때는 청중이 수백인이 넘었다. 그때 한 농부가 누각 아래에서 쉬다가 법문을 엿듣고 깨달은 바가 있어 제자로 삼아줄 것을 간청하였다.

그의 가르침에 따라 농부는 과거의 업장(業障)을 참회하고 화엄(華嚴)의 묘지(妙旨)를 얻었으며, 삼우는 전법제자(傳法弟子)로 삼고 의발(衣鉢)을 전하였는데, 그가 곧 문신(文信)이다. 이것은 중국오조홍인(五祖弘忍)이 나무꾼이었던 육조혜능(六祖慧能)에게 자신의 의발을 전한 고사(故事)와 비견되기도 한다.

1684년 6월 5일 63세로 입적(入寂)하였다. 제자들은 그의 영정(影幀) 2본을 그려서, 백련사대흥사에 봉안하였고, 대제학 한치응(韓致應)이 쓴 비(碑)는 대흥사에 있다.

[참고문헌]

東師列傳(覺岸)
朝鮮佛敎通史(李能和, 新文館, 1918)

[집필자]

김위석(金渭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