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정(李楨){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815FFFFB1578X0
자(字)공간(公幹)
호(號)나재(懶齋)
호(號)나와(懶窩)
호(號)설악(雪嶽)
생년1578(선조 11)
졸년1607(선조 40)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미술 > 화가
이숭효(李崇孝)
조부이상좌(李上佐)

[상세내용]

이정(李楨)
1578년(선조 11)∼1607년(선조 40). 조선 중기의 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간(公幹), 호는 나옹(懶翁)나재(懶齋)나와(懶窩)설악(雪嶽).

조부는 이상좌(李上佐)이고, 부친은 이숭효(李崇孝)이며, 숙부는 이흥효(李興孝)로 대대로 화원 집안이었다. 부모를 일찍 여의고 숙부 이흥효에게서 양육받았다.

5세 때 승형(僧形)을 그렸으며 이흥효가 가법(家法)을 가르쳐 10세에 이미 대성하여 산수‧인물‧불화(佛畵)를 모두 잘 그렸다고 한다.

11세에 금강산에 들어가 나오지 않다가 13세 때인 1589년에 장안사(長安寺)를 개축할 때 산수와 천왕제체(天王諸體)를 그렸고, 1606년 명나라의 사신으로 내조(來朝)한 주지번(朱之蕃)으로부터 절찬을 받았다.

최립(崔岦)으로부터 시문을 배웠고, 허균(許筠)심우영(沈友英)이경준(李耕俊) 등과 가까이 지냈다. 술을 매우 좋아했으며, 의리가 강하고, 좋은 산수를 보면 집에 돌아가는 것을 잊곤 할 만큼 호방한 성격이었다.

그림뿐 아니라 시와 서(書)도 잘하였고 불교에 심취하여 중이 되고자 시도하기도 하였다.

과음으로 인하여 평양에서 30세의 짧은 생애를 마쳤지만 유작들은 원숙한 솜씨와 세련된 화격(畵格)을 보여준다. 유작들을 통해서 그가 전통적인 안견파화풍(安堅派畵風)과 당시에 유행하였던 절파화풍(浙派畵風), 그리고 북경(北京)화단을 통하여 배운 남종화풍(南宗畵風) 등 다양한 화풍을 구사한, 전통주의적이면서도 일면 진보적인 화가였음을 알 수 있다.

대표작으로는 안견파와 절파화풍이 절충된 「산수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와 남종화의 영향이 가미된 「산수화첩」(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 전한다.

[참고문헌]

李楨哀辭(許筠, 惺所覆瓿藁 15)
槿域書畵徵(吳世昌, 啓明俱樂部, 1928)
韓國繪畵史(安輝濬, 一志社, 1980)
韓國浙派畵風의 硏究(安輝濬, 美術資料 20, 國立中央博物館, 1977. 6.)
李楨의 두 傳稱畵帖에 대한 試考 上(李源福, 美術資料 34, 國立中央博物館, 1984. 6.)

[집필자]

안휘준(安輝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