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유장(朴有章)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C720C7A5B1572X0 |
자(字) | 이회(而晦) |
생년 | 1574(선조 7) |
졸년 | 1624(인조 2)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죽산(竹山) |
활동분야 | 문신 |

부 | 박홍구(朴弘耉) |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유장(朴有章)
1574년(선조 7)~1624년(인조 2).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이회(而晦)이며, 본관은 죽산(竹山)이다.
증조부는 박수(朴洙)이고, 조부는 박란영(朴蘭榮)이며, 부친은 광해군 대에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한 박홍구(朴弘耉)이다.
1606년(선조 39) 증광시에서 생원 2등 11위로 합격하였고, 1613년(광해군 5) 증광시 문과에 3위로 급제하였다. 광해군 대에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교리(校理),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다.
1614년(광해군 6) 홍문록(弘文錄)에 기재되었으며, 1615년(광해군 7)에는 분병조좌랑(分兵曹佐郞)에 제수되었다. 1621년(광해군 13) 영접도감낭청(迎接都監郞廳)으로 재직 시 중국사신을 접대하는 음식물이 외방만도 못하다는 평가를 받아 이에 자신의 실책을 인정하며 사직을 청하였으나 윤허를 받지 못하였다. 1624년(인조 2) 부친인 박홍구가 광해군을 태상왕으로 모시고 인성군(仁城君)을 추대하려고 한다고 밀고 받고 체포되었을 때 함께 국문을 당하였다. 시종 원통함을 말하며 승복하지 않고 죽었다.
증조부는 박수(朴洙)이고, 조부는 박란영(朴蘭榮)이며, 부친은 광해군 대에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한 박홍구(朴弘耉)이다.
1606년(선조 39) 증광시에서 생원 2등 11위로 합격하였고, 1613년(광해군 5) 증광시 문과에 3위로 급제하였다. 광해군 대에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교리(校理),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하였다.
1614년(광해군 6) 홍문록(弘文錄)에 기재되었으며, 1615년(광해군 7)에는 분병조좌랑(分兵曹佐郞)에 제수되었다. 1621년(광해군 13) 영접도감낭청(迎接都監郞廳)으로 재직 시 중국사신을 접대하는 음식물이 외방만도 못하다는 평가를 받아 이에 자신의 실책을 인정하며 사직을 청하였으나 윤허를 받지 못하였다. 1624년(인조 2) 부친인 박홍구가 광해군을 태상왕으로 모시고 인성군(仁城君)을 추대하려고 한다고 밀고 받고 체포되었을 때 함께 국문을 당하였다. 시종 원통함을 말하며 승복하지 않고 죽었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仁祖實錄
[집필자]
나영훈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