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최기벽(崔基鐴)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D5CAE30BCBDU9999X0
자(字)자근(子勤)
생년1573(선조 6)
졸년1645(인조 23)
시대조선중기
본관강릉(江陵)
활동분야문신 > 문신

[상세내용]

최기벽(崔基鐴)
1573년(선조 6)∼1645년(인조 23).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자근(子勤)이다. 본관은 강릉(江陵)이고, 출신지는 강원도 원주(原州)이다.

부친 선교랑(宣敎郞) 최경선(崔景祥)과 모친 우찬성(右贊成) 팔계군(八溪君) 정종영(鄭宗榮)의 딸 초계정씨(草溪鄭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부사직(副司直) 원응림(元應霖)의 딸 원주원씨(原州元氏)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외조부 팔계군 정종영의 슬하에서 잘랐다.

1612년(광해군 4) 식년시 생원과 2등 4위로 합격한 후, 같은 해에 동생 최기백(崔基銆)과 함께 성균관박사(成均館博士)에 제수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영창군(永昌君)이 폐위되고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서궁(西宮)에 유폐되자, 동생과 함께 사람의 도리가 사라진 것에 대해 한탄하며 크게 비판하다가 금고형(禁錮刑)을 받자 원주로 낙향하였다.

인조반정으로 복권된 뒤, 1627년(인조 5) 와서별제(瓦署別提)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이후 관직에 크게 뜻을 두지 않았으며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를 마지막으로 관직생활을 마쳤다.

슬하에 4남 3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영암군수(靈巖郡守) 최문오(崔文澳)‧함양군수(咸陽郡守) 최문활(崔文活)‧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최문식(崔文湜)‧생원 최문발(崔文潑)이다.

[참고문헌]


[집필자]

고윤수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