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귀성(黃貴成)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D669ADC0C131B1548X0 |
자(字) | 치장(致章) |
호(號) | 만휴(晩休) |
생년 | 1548(명종 3) |
졸년 | 1605(선조 38)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평해(平海) |
활동분야 | 무신 > 무신 |

부 | 황희손(黃熙孫) |
모 | 의성김씨(義城金氏) |
저서 | 『만휴당문집』 |

[상세내용]
황귀성(黃貴成)
1548년(명종 3)∼1605년(선조 38). 조선 중기의 무신‧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자는 치장(致章), 호는 만휴(晩休).
부친은 황희손(黃熙孫)이며, 모친은 의성김씨(義城金氏)이다.
어려서는 아버지에게서 수학하였고, 1572년(선조 5)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그 뒤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유성룡의 막하에 있으면서 평양‧정주‧구성 등지에서 국난평정에 공을 세웠다. 특히 명군(明軍)의 임진강 도하작전의 공로로 정략장군(定略將軍)의 품계에 올랐다.
만년에는 고향인 익양(益陽)에서 만휴당(晩休堂)을 세워 후진양성에 매진하였다.
저서로는 『만휴당문집』이 있다.
부친은 황희손(黃熙孫)이며, 모친은 의성김씨(義城金氏)이다.
어려서는 아버지에게서 수학하였고, 1572년(선조 5)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그 뒤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유성룡의 막하에 있으면서 평양‧정주‧구성 등지에서 국난평정에 공을 세웠다. 특히 명군(明軍)의 임진강 도하작전의 공로로 정략장군(定略將軍)의 품계에 올랐다.
만년에는 고향인 익양(益陽)에서 만휴당(晩休堂)을 세워 후진양성에 매진하였다.
저서로는 『만휴당문집』이 있다.
[참고문헌]
晩休堂文集
[집필자]
김동현(金東鉉)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