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윤결(尹潔)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24ACB0FFFFB1517X0
자(字)장원(長源)
호(號)성부(醒夫)
생년1517(중종 12)
졸년1548(명종 3)
시대조선전기
본관남원(南原)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윤시걸(尹時傑)
저서『유구풍속기(琉球風俗記)』

[상세내용]

윤결(尹潔)
1517년(중종 12)∼1548년(명종 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장원(長源), 호는 취부(醉夫)성부(醒夫). 정랑 윤시걸(尹時傑)의 아들이다.

1537년(중종 32)에 진사가 되고, 1543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44년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1546년(명종 1)에는 유구(琉球)에 표류하였던 박손(朴孫)의 경험담을 토대로 『유구풍속기(琉球風俗記)』를 저술하였다.

1548년 홍문관수찬이 되었으나, 시정기(時政記)필화사건으로 참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함을 술자리에서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진복창(陳復昌), 능성군(綾城君) 구사안(具思顔) 등의 밀고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확장을 비판하였다고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하였다.

동생 윤준(尹浚)윤원로(尹元老)의 죽음이 윤원형 형제의 싸움 때문이라고 말하여 죽음을 당하였다.

시문에 능하였으며, 1567년(선조 즉위)에 복관되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國朝名臣錄
國朝榜目
乙巳傳聞錄
長貧居士胡撰
大東野乘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명 : "결(潔)"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野乘v2弟以变乨是非動揺羣情請竄
大事編年v5金吾卽至拿去至闕下在座聞之云者亦拿至潔顧謂曰吾之生死在君口勿諱且勿誣及至廷訊對以參聽蓋復昌之鷹犬而惡者也復昌陰嗾推官必先訊尹浚蓋浚平生喜酒性且怡欲取其誣服計也復昌又使獄卒强勸美酒亦令執杖者猛下五六度仍
大事編年v5完者而一招之外閉口不語但裂其衣幅而疏之特減死流穩城出獄語人曰天日孔昭吾豈死於非辜耶復昌聞之益怒請更鞫紦不食至受入次而死
大事編年v5流涕也浚亦曰尹元衡媚事女主至殺其兄元老他又何說乎臣今日始聞其語敢來啓人有在坐聞之請幷拿問卽日三省設鞫適出湖堂與僚友說䪨連失其字所作亦與前詩不同飮數杯便火醉同僚戲之曰公今日亦酒病矣未幾金吾卽至拿去至闕下
大事編年v5連失其字所作亦與前詩不同飮數杯便火醉同僚戲之曰公今日亦酒病矣未幾金吾卽至拿去至闕下在座聞之云者亦拿至顧謂曰吾之生死在君口勿諱且勿誣及至廷訊對以參聽蓋復昌之鷹犬而惡潔者也復昌陰嗾推官必先訊尹浚蓋浚平生喜
大事編年v5復昌又使獄卒强勸美酒亦令執杖者猛下五六度仍附耳讚語曰修撰已承服照律杖配幺何犻忍此死耶浚果誣服卽夜行刑連受刑二次翌日又加一次肉無完者而一招之外閉口不語但裂其衣幅而疏之特減死流穩城出獄語人曰天日孔昭吾豈死
國朝人物志v2顏家醉中言多觸諱至曰每思安名世涕淚沾衣思顏告於陳復昌鞫之無實狀極其慘毒聞者哀之付處北道僚友送至東門潔以詩爲別而又有觸諱復昌更告還鞫至八次而死日月錄官
國朝人物志v2冤安名世枉死會飮綾原尉具思顏所語及之時陳復昌用事聞其言以勢焰怵之思顏計窮吐實死杖下復謪謫朔州越三年順懷世子誕生以赦宥還復才兼文武而尤致意於兵略甲戌島夷作警復條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