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취문(金就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DE8BB38B1509X0
자(字)문지(文之)
호(號)구암(久菴)
시호(諡號)문간(文簡)
생년1509(중종 4)
졸년1570(선조 3)
시대조선전기
본관선산(善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광좌(金匡佐)
저서『구암집』
공훈청백리(淸白吏)

[상세내용]

김취문(金就文)
1509년(중종 4)∼1570년(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문지(文之), 호는 구암(久菴). 김광좌(金匡佐)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형 김취성(金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워 그 학통을 이었고 문장을 잘하여 이름이 높았다.

1537년(중종 3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를 거쳐, 1541년 형조‧예조의 좌랑을 지내고 외직으로 나가 비안현감을 지냈다.

1544년 강원도도사(江原道都事), 이듬해 홍문관수찬, 1547년(명종 2) 호조‧공조의 정랑을 지냈다. 다시 외직으로 나가 전라도도사영천군수청송부사상주목사나주목사를 거쳐, 1565년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집의교리호조참의대사간에 이르렀다.

어려서부터 성품이 강직하여 벼슬길에 나가서도 권세가에게 아부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하여 자주 외직으로 밀려났다. 외직에 있으면서도 청렴결백하여 백성들을 침탈함이 전혀 없어 성균관사성으로 있을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또한, 경세적(經世的)인 관심도 커서 지방 수령으로 전전할 때 시정(時政)에 대한 건의사항을 왕에게 주달한 것이 문집에 많이 남아 있다.

저서로는 『구암집』 3권이 남아 있다. 처음 시호를 정간(貞簡)이라고 했다가 뒤에 문간(文簡)으로 바꾸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대표명김취문(金就文)
취문(就文)
성명김취문(金就文)
문지(文之)
구암(久庵), 구암(久菴)

명 : "취문(就文)"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寒臯觀外史v3就文字文之號久菴善山人朴松堂英之門人官大諌
江湖先生實蹟v1發剏立洛峯書院於善山府海平舊縣以祀叔滋而以處士臣金就成進士臣朴雲副提學臣金就文郡守臣高應陟配焉蓋就成就文兄弟與雲同學於父穆公臣朴英英學於校理臣鄭鵬▣鵬學於先正臣金宏弼此皆源派之出自叔滋者而應陟則又私淑諸人
江湖先生實蹟v1防慕聖賢之躅而學行有本及其歿銘之曰奮志向學謂聖可則徵言揭日聖道指掌卽此數端可驗其平日學力之純深篤至也就文以英粹之姿濟問學之功契悟精深大爲師友所推許在仁廟朝上正禮疏故相臣尹斗壽詩所謂乙巳曾聞上諫書直聲當日動
江湖先生實蹟v1溯孔孟之源夫以宗直之賢其所濡染於家庭手錄而筆書者卽何異於致堂之於文定九峯之於西山而容有一毫過溢之辭哉就文出守靑松也李滉與其子寯書使之往謁曰靑松吾所敬畏又曰觀鉅海見賢人豈不好耶夫以先正之寡許而猶且敬畏之譬諸
江湖先生實蹟v1故參贊臣白仁傑孝陵進挽詩所謂三年短制心嫌漢五月居廬禮過滕者正道此也豈不韙哉嗚乎叔滋之學實接群賢之正統就文之學▣的有師友之淵源則有非臣等末學之言所可輕重而竊嘗聞先輩之緖論矣先正臣李滉嘗答華使之問歷擧東方性理
江湖先生實蹟v1一疏三年之內請寢賀禮易月之外請衣大帶而批旨隆重亟賜開納喪禮因是而得正朝儀由此而大備遂爲百世不易之定制就文守經之論同紫陽瑞慶停賀之箚仁廟從善之德邁滕文親喪自盡之道故參贊臣白仁傑孝陵進挽詩所謂三年短制心嫌漢五
江湖先生實蹟v1官致祭特宣恩額南土人士莫不欽仰聖德鼓舞振作而竊伏念先賢之道學純備事功顯大者率多贈爵賜諡而叔滋職至正卿就文秩止三品俱未蒙易名之恩誠爲朝家之欠典輿情之齎鬱臣等褁足千里仰叫凡閽不避僭越之誅猥陳瀆撓之辭伏願聖明特
江湖先生實蹟v1朝著拭目至於甲辰一疏廣聖孝於千古垂法程於萬世蓋在國朝中葉以前朝制尙多草剏儀文猶有未備而當中廟大喪之日就文投進一疏三年之內請寢賀禮易月之外請衣大帶而批旨隆重亟賜開納喪禮因是而得正朝儀由此而大備遂爲百世不易之
一善邑誌(慶尙北道)v6公諱就文字文之姓金氏善山人也考諱匡佐贈嘉善大夫吏曹參判祖諱磾贈通政大夫戶曹參議曾祖諱有瓚通政大夫行定平都護府
國朝人物志v2疏告之以疾則便與之以藥其所濟活者數于人世居南村狐池自號西山有弟五人就器就硏就鍊就文就彬東儒師友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