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유손(洪𥙿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C720C190B1431X0
자(字)여경(餘慶)
호(號)소총(篠叢)
호(號)광진자(狂眞子)
생년1431(세종 13)
졸년1529(중종 24)
시대조선전기
본관남양(南陽[唐])
활동분야문학 > 시‧시조인
저서『소총유고』

[상세내용]

홍유손(洪𥙿孫)
1431년(세종 13)∼1529년(중종 24). 조선 초기의 시인.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여경(餘慶), 호는 소총(篠叢)광진자(狂眞子).

가세가 청빈하였으나 경(經)‧사(史)를 섭렵하고, 방달(放達)한 기질에 얽매임이 없었다. 과거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향리의 역(役)을 벗고자 꾀하지도 않았는데, 1481년(성종 12) 남양군수 채수(蔡壽)가 문장이 능한 것을 보고 역을 면하게 해주었다.

그러자 곧 영남으로 가서 김종직(金宗直)을 찾아가 문인이 되었다.

이때 김종직은 “이 사람은 이미 안자(顔子)가 즐긴 바를 알고 있으니 학자들은 모두 본받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한다. 이어 바로 두류산(頭流山)으로 들어가 수업한 뒤, 서울로 돌아와서 김종직이 시사(時事)를 건백(建白)하지 않는 것을 보고 비판하였다.

그는 세상을 희롱하여 고답(高踏)하면서 영리(榮利)를 구하지 않고 일생을 보냈다. 당시의 명류 김수온(金守溫)김시습(金時習)남효온(南孝溫) 등과 특히 가깝게 지내면서 죽림7현을 자처하고 노자(老子)장자(莊子)의 학문을 토론하며 시율(詩律)을 나누었는데, 남효온은 그를 평하여 “문(文)은 칠원(漆園)같고, 시는 산곡을 누빈다(涉).”고 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제주도에 유배되고 노예가 되었다가 1506년 중종반정으로 풀려나왔다.

76세에 처음으로 처를 맞아들여 아들 하나를 얻어 홍지성(洪志誠)이라 이름하였다.

저서로는 『소총유고』가 있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國朝人物考
師友名行錄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