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유손(洪𥙿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C720C190B1431X0
자(字)여경(餘慶)
호(號)소총(篠叢)
호(號)광진자(狂眞子)
생년1431(세종 13)
졸년1529(중종 24)
시대조선전기
본관남양(南陽[唐])
활동분야문학 > 시‧시조인
저서『소총유고』

[상세내용]

홍유손(洪𥙿孫)
1431년(세종 13)∼1529년(중종 24). 조선 초기의 시인.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여경(餘慶), 호는 소총(篠叢)광진자(狂眞子).

가세가 청빈하였으나 경(經)‧사(史)를 섭렵하고, 방달(放達)한 기질에 얽매임이 없었다. 과거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향리의 역(役)을 벗고자 꾀하지도 않았는데, 1481년(성종 12) 남양군수 채수(蔡壽)가 문장이 능한 것을 보고 역을 면하게 해주었다.

그러자 곧 영남으로 가서 김종직(金宗直)을 찾아가 문인이 되었다.

이때 김종직은 “이 사람은 이미 안자(顔子)가 즐긴 바를 알고 있으니 학자들은 모두 본받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한다. 이어 바로 두류산(頭流山)으로 들어가 수업한 뒤, 서울로 돌아와서 김종직이 시사(時事)를 건백(建白)하지 않는 것을 보고 비판하였다.

그는 세상을 희롱하여 고답(高踏)하면서 영리(榮利)를 구하지 않고 일생을 보냈다. 당시의 명류 김수온(金守溫)김시습(金時習)남효온(南孝溫) 등과 특히 가깝게 지내면서 죽림7현을 자처하고 노자(老子)장자(莊子)의 학문을 토론하며 시율(詩律)을 나누었는데, 남효온은 그를 평하여 “문(文)은 칠원(漆園)같고, 시는 산곡을 누빈다(涉).”고 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제주도에 유배되고 노예가 되었다가 1506년 중종반정으로 풀려나왔다.

76세에 처음으로 처를 맞아들여 아들 하나를 얻어 홍지성(洪志誠)이라 이름하였다.

저서로는 『소총유고』가 있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國朝人物考
師友名行錄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자 : "여경(餘慶)"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0洪裕孫南陽人字餘慶號篠叢子又狂真子金宗直門人五歲稱奇童早中進士見士禍甚慘韜晦山水間以自免文章甚高行迹與金時習畧同以胥吏
大東彙纂v11洪裕孫字餘慶號篠叢南陽吏順致之子涉獵經史放達不檢不爲科擧不爲免鄕計家世淸貧或不裙而行南陽守蔡申甫以其能文放其役卽
小華龜鑑v3洪裕孫字餘慶號篠叢南陽縣吏于官放其後畢齋門人文如漆原詩如山谷才挾孔明行類曼倩知禍起潔身以終人稱異人嘗與金時習爲方
靑彙抄v3洪裕孫 子餘慶 篠䕺南陽吏舜致 之子涉獵經史放達不檢不爲科擧不爲免鄕計家計淸貧或不裙而行南陽守蔡申甫 以其能文放其
寒臯觀外史v11洪裕孫字餘慶南陽人外為狂昜失性而內持釋氏之無字十餘年方悟䢜讀
寒臯觀外史v11如曰學而時習之不亦悅乎可以知二十篇宗旨矣如人始坐聞其謦欬之聲可以預知其人言語之美矣醒狂伯淵獨不取信曰餘慶之持無字所謂外語也裕孫號篠叢子年九十卒世稱黑人其題江石詩曰濯足清江臥白沙心神潛寂入無何天教風浪長喧耳
寒臯觀外史v11號狂真子南陽吏順致之子家世清貧僅裏身軆行或不裙涉獵經史放達不檢不喜科舉不為免鄕計辛丑年南陽守蔡申保以餘慶為能文放其役即步䢜嶺南謁佔畢齋受杜詩先生曰此子已見顏子所樂處學者皆宗之入頭流山隷業到京諌先生不建白時
寒臯觀外史v11洪裕孫字餘慶號篠叢又號狂真子南陽吏順致之子家世清貧僅裏身軆行或不裙涉獵經史放達不檢不喜科舉不為免鄕計辛丑年南陽守
寒臯觀外史v11爵祿為也且當今學者莫不惡佛老而行已無一箇免於佛老者行圎而惡方者老也行獨而不恤者佛也先生大惡之自是每稱餘慶譎詐餘慶亦自晦付衣食於朱門而已為人文如漆園詩涉山
寒臯觀外史v11且當今學者莫不惡佛老而行已無一箇免於佛老者行圎而惡方者老也行獨而不恤者佛也先生大惡之自是每稱餘慶譎詐餘慶亦自晦付衣食於朱門而已為人文如漆園詩涉山谷才挾孔
寒臯觀外史v32裕孫字餘慶南陽人號篠叢子南秋江孝温字伯恭宜寧
寒臯觀外史v32用漑字漑之號二樂高靈人官左相謚文景㴐䕃北伯旌閭靈光丁湖之壻裕孫字餘慶號篠叢南陽人○施愛吉州人以前會寧府使叛誅
國朝人物志v1餘慶號篠叢又號狂眞子南陽人府吏順致子家世淸貧放達不撿南陽太守以能文免其吏役卽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