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효수(朴孝修)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D6A8C218D1337X0 |
호(號) | 석재(石齋) |
생년 | ?(미상) |
졸년 | 1337(충숙왕 후6) |
시대 | 고려후기 |
본관 | 죽산(竹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박효수(朴孝修)
미상∼1337년(충숙왕 복위 6). 고려 충숙왕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호는 석재(石齋).
1317년(충숙왕 4)부터 고시관(考試官)을 지냈으며 1321년에는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다.
원나라에 상서(上書)하여 상왕(上王: 충선왕)을 환국하게 하려고 노력하였으며, 평소에 지조가 있고 청렴하여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다. 관직이 대언에 이르렀고, 충선왕과 친교가 있다 하여 충숙왕으로부터 불신을 받던 윤신걸(尹莘傑)에 대신하여 시관으로서 선비를 뽑아 학사연(學士宴)을 베푸니, 왕은 그 비용으로 은병(銀甁) 50개와 쌀 100석을 사(賜)하고 그를 연창군(延昌君)으로 봉하였다.
1317년(충숙왕 4)부터 고시관(考試官)을 지냈으며 1321년에는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다.
원나라에 상서(上書)하여 상왕(上王: 충선왕)을 환국하게 하려고 노력하였으며, 평소에 지조가 있고 청렴하여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다. 관직이 대언에 이르렀고, 충선왕과 친교가 있다 하여 충숙왕으로부터 불신을 받던 윤신걸(尹莘傑)에 대신하여 시관으로서 선비를 뽑아 학사연(學士宴)을 베푸니, 왕은 그 비용으로 은병(銀甁) 50개와 쌀 100석을 사(賜)하고 그를 연창군(延昌君)으로 봉하였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집필자]
이정신(李貞信)
봉호 : "연창군(延昌君)"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