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간(朴仁幹)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C778AC04D1343X0 |
생년 | ?(미상) |
졸년 | 1343(충혜왕 후4) |
시대 | 고려후기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공신호 | 진성병의익찬공신(盡誠秉義翊贊功臣) |

[상세내용]
박인간(朴仁幹)
미상∼1343년(충혜왕 복위 4). 고려 말기의 문신.
1315년(충숙왕 2)에 고시관(考試官) 이진(李瑱)이 주관한 과거에서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였다. 그해 원나라에 가서 과거에 응시했으나 급제하지는 못하였다.
직보문각(直寶文閣)으로 상왕(上王)인 충선왕을 따라 원나라에 갔는데, 1320년 백안독고사(伯顔禿古思)의 모함으로 충선왕이 토번(吐蕃: 티베트)으로 유배될 때 수종(隨從)하던 재상 최성지(崔誠之) 등이 모두 도망을 쳤으나, 대호군 장원지(張元祉) 등 18인과 함께 유배지까지 시종하였다.
1324년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가 되고 진성병의익찬공신(盡誠秉義翊贊功臣)에 봉해졌으며, 뒤이어 밀직사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가 되었다.
1341년(충혜왕 복위 2) 원나라가 왕제(王弟) 강릉대군(江陵大君) 기(祺: 뒤에 공민왕)를 불러 입조(入朝)하게 하자 정승 채하중(蔡河中), 전첨의평리(前僉議評理) 손기(孫琦) 등 30인과 함께 수종하여 원나라에 갔으며, 이곳에 있던 원자(元子: 忠穆王)의 사부(師傅)가 되었다.
1315년(충숙왕 2)에 고시관(考試官) 이진(李瑱)이 주관한 과거에서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였다. 그해 원나라에 가서 과거에 응시했으나 급제하지는 못하였다.
직보문각(直寶文閣)으로 상왕(上王)인 충선왕을 따라 원나라에 갔는데, 1320년 백안독고사(伯顔禿古思)의 모함으로 충선왕이 토번(吐蕃: 티베트)으로 유배될 때 수종(隨從)하던 재상 최성지(崔誠之) 등이 모두 도망을 쳤으나, 대호군 장원지(張元祉) 등 18인과 함께 유배지까지 시종하였다.
1324년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가 되고 진성병의익찬공신(盡誠秉義翊贊功臣)에 봉해졌으며, 뒤이어 밀직사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가 되었다.
1341년(충혜왕 복위 2) 원나라가 왕제(王弟) 강릉대군(江陵大君) 기(祺: 뒤에 공민왕)를 불러 입조(入朝)하게 하자 정승 채하중(蔡河中), 전첨의평리(前僉議評理) 손기(孫琦) 등 30인과 함께 수종하여 원나라에 갔으며, 이곳에 있던 원자(元子: 忠穆王)의 사부(師傅)가 되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집필자]
민병하(閔丙河)
대표명 | 박인간(朴仁幹) |
성명 | 박인간(朴仁幹) |
성명 : "박인간(朴仁幹)"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