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우탁(禹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6B0D0C1FFFFB1263X0
자(字)천장(天章)
자(字)탁보(卓甫)
자(字)탁보(卓夫)
호(號)백운(白雲)
호(號)단암(丹巖)
호(號)역동(易東)
시호(諡號)문희(文僖)
생년1263(원종 4)
졸년1342(충혜왕 후3)
시대고려후기
본관단양(丹陽)
활동분야학자 > 유생
우천규(禹天珪)

[상세내용]

우탁(禹倬)
1263년(원종 4)∼1342년(충혜왕 복위 3). 고려말 정주학 수용 초기의 유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천장(天章) 또는 탁보(卓甫)탁보(卓夫), 호는 백운(白雲)단암(丹巖). 세상에서 ‘역동선생(易東先生)’이라 일컬어졌다.

시조 우현(禹玄)의 7대손으로, 남성전서문하시중(南省典書門下侍中)으로 증직된 우천규(禹天珪)의 아들이다.

1278년(충렬왕 4) 향공진사(鄕貢進士)가 되고, 과거에 올라 영해사록(寧海司錄)이 되었다.

이 무렵 영해에는 팔령(八鈴)이라 이름하는 신사(神祠)가 있어 백성들이 그 영험을 믿고 팔령신(八鈴神)을 극진히 받들고 있었으며, 자주 제사지내고 재물을 바쳐 폐해가 막심하였는데, 팔령신을 요괴로 단정하고는 신사를 과감히 철폐하였다.

1308년(충선왕 즉위) 감찰규정(監察糾正)이 되었고, 충선왕이 부왕의 후궁인 숙창원비(淑昌院妃)와 통간하자 백의(白衣)차림에 도끼를 들고 거적자리를 짊어진 채 대궐로 들어가 극간을 하였다.

곧 향리로 물러나 학문에 정진하였으나 충의를 가상히 여긴 충숙왕의 여러 번에 걸친 소명으로 다시 벼슬길에 나서서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치사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난 뒤에는 예안(禮安)에 은거하면서 후진교육에 전념하였다. 당시 원나라를 통하여 새로운 유학인 정주학(程朱學)이 수용되고 있었는데 이를 깊이 연구하여 후학들에게 전해주었다.

특히, 정이(程頤)가 주석한 『역경』의 「정전(程傳)」은 처음 들어왔을 때 아는 이가 없었는데, 방문을 닫아걸고 연구하기를 달포 만에 터득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쳐주었다.

경사(經史)에 통달하였고, 역학(易學)에 더욱 조예가 깊어 복서(卜筮)가 맞지 않음이 없다고 『고려사』 열전에 기록되어 있는 것은 아주 뛰어난 역학자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시조 2수와 몇 편의 시가 전하고 있을 뿐이다.

조선조에 와서 이황(李滉)의 발의로 1570년(선조 3) 예안역동서원(易東書院)이 창건되었으나, 1871년(고종 8)에 훼철당하였다가 1966년 복원되었다.

또 하나 구계서원(龜溪書院)은 영남대학교 구내로 옮겨졌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華海師全
東國遺史
新增東國輿地勝覽
易東 禹倬先生의 學問과 人品(李完栽, 安東文化 3, 安東學會, 1973)
易東 禹倬先生 思想의 硏究(吳錫源, 安東文化 5, 安東學會, 1984)

[집필자]

최근덕(崔根德)

명 : "탁(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4無不中忠烈丁未入使中國奏曰臣國無易傳願見之帝賜全帙倬一宵盡覽翌朝還納帝命背講遍誦無碍帝驚讃除禮部尙書返國傳寫翌年付送使臣以本傳相準無一字錯誤帝曰吾易東矣初忠宣爲世子時殺忠烈倖姫無比仍進金文衍之妹慰解忠
紀年便攷v4祀甚瀆倬至即碎而沈于海滛祀遂絶通經史尤深於易學卜筮無不中忠烈丁未入使中國奏曰臣國無易傳願見之帝賜全帙一宵盡覽翌朝還納帝命背講遍誦無碍帝驚讃除禮部尙書倬返國傳寫翌年付送使臣以本傳相準無一字錯誤帝曰吾易東
紀年便攷v4一卓夫號白雲又丹巖時人稱易東安裕門人忠烈戊寅進士庚寅登科初調寧海司錄郡有妖神祠名八鈴民惑靈恠奉祀甚瀆至即碎而沈于海滛祀遂絶通經史尤深於易學卜筮無不中忠烈丁未入使中國奏曰臣國無易傳願見之帝賜全帙倬一宵盡
紀年便攷v4子時殺忠烈倖姫無比仍進金文衍之妹慰解忠烈之心忠烈幸之封淑昌院妃忠烈薨忠宣烝之進封淑妃百態妖媚王甚惑之以監察紏正白衣持斧荷藁詣闕上䟽敢言近臣展䟽不敢讀倬厲聲曰卿爲近侍未能格非而逢惡至此卿知其罪耶左右震慓
紀年便攷v5禹仁烈平章事文純公福生子從孫恭愍朝屡遷繕工判事厯鷹揚軍上護軍以慶尙元帥伐倭再有㓛進賛成事辛禑庚申從我太祖詩倭復拜都軆察使恭讓
紀年便攷v5禹玄寶丹陽人祭酒孫判書吉生子忠肅王癸酉生朴遠孫婿字原㓛初字元㓛避洪武御諱改以原一錫主號養浩堂又獨樂翁恭愍王乙未文科天
斷爛v2爲今相臣忍爲之耶至我東事言之禹倬則麗朝名賢也當忠宣王朝倬以白衣持斧荷藁席直入闕上疏敢諫近臣展疏不敢讀厲聲曰卿爲近臣未能格非而逢惡至此卿知罪耶左右震慄王有慙色未知其時之臣亦有以持刀入闕恐動其君構殺設計者
斷爛v2梁冀之凶逆未聞以持兵詣闕構成罪案則梁冀之所不忍爲今相臣忍爲之耶至我東事言之禹倬則麗朝名賢也當忠宣王朝以白衣持斧荷藁席直入闕上疏敢諫近臣展疏不敢讀倬厲聲曰卿爲近臣未能格非而逢惡至此卿知罪耶左右震慄王有慙
朝鮮歷史v2均祭酒致仕禹倬이卒다倬이經史□博通고易理에深究야卜筮에無不中이러니程傳이初來에能知者ㅣ無거이閉門月餘에參究乃解니라至是에卒니年이八十一이러라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