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지(閔漬)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BBFCC9C0FFFFB1248X0 |
자(字) | 용연(龍涎) |
호(號) | 묵헌(黙軒) |
시호(諡號) | 문인(文仁) |
생년 | 1248(고종 35) |
졸년 | 1326(충숙왕 13) |
시대 | 고려후기 |
본관 | 여흥(驪興)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5대조 | 민영모(閔令謨) |
저서 | 『묵헌집』 |
[관련정보]
[상세내용]
민지(閔漬)
1248년(고종 35)∼1326년(충숙왕 13).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용연(龍涎), 호는 묵헌(黙軒). 평장사 민영모(閔令謨)의 5대손이며, 민상정(閔祥正)의 아버지이다.
1266년(원종 7)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고, 1279년(충렬왕 5) 전중시사(殿中侍史)를 거쳐 예빈윤(禮賓尹)이 되었다. 충선왕이 세자 때인 1290년 정가신(鄭可臣)과 함께 세자를 따라 원나라에 가서 한림직학사 조열대부(翰林直學士朝列大夫)의 벼슬을 받았다.
1258년 원나라가 두번이나 실패한 일본정벌을 결행하려 하자 좌부승지로 왕을 따라 원나라에 가서 동정(東征)의 불필요함을 역설하여 전함(戰艦) 건조를 중지하도록 하였다.
그뒤 집현전대학사 첨광정원사(集賢殿大學士僉光政院事)가 되고 충선왕초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다.
1321년(충숙왕 8)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다.
1323년 가락군(駕洛君) 허유전(許有全), 흥녕군(興寧君) 김거(金䝻)와 함께 원나라에 가서 충선왕의 환국을 청할 표문(表文)을 지었다. 이 문장은 명문으로 그 뜻이 간절하고 때로는 애통한 듯하였다.
그러나 원나라에 머무른 지 6개월이 되어도 심왕(瀋王)무리의 간계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는 정가신이 지은 『천추금경록(千秋今鏡錄)』 7권을 권부(權溥)와 교열, 증수하여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라 이름하였고, 또 『본국편년강목(本國編年綱目)』 42권을 편찬하였으나 모두 전하지 않고 있다.
사관은 민지를 평하기를, “그는 문예는 있으나 습속이 많고 심술이 바르지 않아 나인(內人)을 아첨하여 섬기고, 또한 성리(性理)의 학을 알지 못하여 주자(朱子)의 소목론(昭穆論: 종묘 신위의 차례를 말함.)을 그르다고 하였으니 편벽함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아마 고려사를 편찬한 조선 성리학자들의 견해로 보인다.
저서로는 『묵헌집』이 있다. 시호는 문인(文仁)이다.
1266년(원종 7)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고, 1279년(충렬왕 5) 전중시사(殿中侍史)를 거쳐 예빈윤(禮賓尹)이 되었다. 충선왕이 세자 때인 1290년 정가신(鄭可臣)과 함께 세자를 따라 원나라에 가서 한림직학사 조열대부(翰林直學士朝列大夫)의 벼슬을 받았다.
1258년 원나라가 두번이나 실패한 일본정벌을 결행하려 하자 좌부승지로 왕을 따라 원나라에 가서 동정(東征)의 불필요함을 역설하여 전함(戰艦) 건조를 중지하도록 하였다.
그뒤 집현전대학사 첨광정원사(集賢殿大學士僉光政院事)가 되고 충선왕초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다.
1321년(충숙왕 8)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다.
1323년 가락군(駕洛君) 허유전(許有全), 흥녕군(興寧君) 김거(金䝻)와 함께 원나라에 가서 충선왕의 환국을 청할 표문(表文)을 지었다. 이 문장은 명문으로 그 뜻이 간절하고 때로는 애통한 듯하였다.
그러나 원나라에 머무른 지 6개월이 되어도 심왕(瀋王)무리의 간계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는 정가신이 지은 『천추금경록(千秋今鏡錄)』 7권을 권부(權溥)와 교열, 증수하여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라 이름하였고, 또 『본국편년강목(本國編年綱目)』 42권을 편찬하였으나 모두 전하지 않고 있다.
사관은 민지를 평하기를, “그는 문예는 있으나 습속이 많고 심술이 바르지 않아 나인(內人)을 아첨하여 섬기고, 또한 성리(性理)의 학을 알지 못하여 주자(朱子)의 소목론(昭穆論: 종묘 신위의 차례를 말함.)을 그르다고 하였으니 편벽함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아마 고려사를 편찬한 조선 성리학자들의 견해로 보인다.
저서로는 『묵헌집』이 있다. 시호는 문인(文仁)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史節要
[집필자]
진성규(秦星圭)
명 : "지(漬)"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