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함(金諴)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AE40D568FFFFB1551X0 |
자(字) | 덕원(德元) |
생년 | 1076(문종 30) |
졸년 | 1147(의종 1) |
시대 | 고려중기 |
본관 | 개성(開城)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김함(金諴)
1076년(문종 30)∼1147년(의종 1). 고려 중기 문신. 자는 덕원(德元)이다. 본관은 개성(開城)이고, 출신지는 전라남도 도강군(道康郡: 현 강진군(康津郡))이다.
조부는 검교태자대부(檢校太子大傅) 전방(殿邦)이고, 부친 증검교태자대사(贈檢校太子大師) 김석부(金錫符)와 모친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오정(吳頲)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상승봉어(尙乘奉御) 노격(盧格)의 딸이다.
20세에 명경과(明經科)에 문과 급제하였다. 장작주부(將作注簿)‧순주수령(順州首領)‧대부주부(大府注簿)‧상서도사(尙書都事)‧감찰어사(監察御史)‧서경분대(西京分臺)‧형부원외랑(刑部員外郞)‧동경부유수(東京副留守)‧비서승(秘書丞)‧병부낭중삼사판관(兵部郎中三司判官)‧위위소경지형부사(衛尉少卿知刑部事)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한 후 비서소감어서검토관지호부사(秘書少監御書檢討官知戶部事)에 이르렀다. 뛰어난 행정력으로 가는 곳마다 칭송을 들었다.
72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묘는 경기도 송림현(松林縣: 현 경기도 장단군(長湍郡))에 있다.
슬하에 2남을 두었는데, 장남은 문림랑(文林郞) 위위주부동정(衛尉主簿同正) 김신항(金伸沆)이고, 차남은 국학학유(國學學諭) 김대령(金大齡)이다.
1148년(의종 2)에 예빈승동정(禮賓丞同正) 양적중(梁積中)이 찬(贊)한 것을 돌에 해서(楷書)로 새긴 「김함묘지명(金諴墓誌銘)」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부는 검교태자대부(檢校太子大傅) 전방(殿邦)이고, 부친 증검교태자대사(贈檢校太子大師) 김석부(金錫符)와 모친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오정(吳頲)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상승봉어(尙乘奉御) 노격(盧格)의 딸이다.
20세에 명경과(明經科)에 문과 급제하였다. 장작주부(將作注簿)‧순주수령(順州首領)‧대부주부(大府注簿)‧상서도사(尙書都事)‧감찰어사(監察御史)‧서경분대(西京分臺)‧형부원외랑(刑部員外郞)‧동경부유수(東京副留守)‧비서승(秘書丞)‧병부낭중삼사판관(兵部郎中三司判官)‧위위소경지형부사(衛尉少卿知刑部事)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한 후 비서소감어서검토관지호부사(秘書少監御書檢討官知戶部事)에 이르렀다. 뛰어난 행정력으로 가는 곳마다 칭송을 들었다.
72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묘는 경기도 송림현(松林縣: 현 경기도 장단군(長湍郡))에 있다.
슬하에 2남을 두었는데, 장남은 문림랑(文林郞) 위위주부동정(衛尉主簿同正) 김신항(金伸沆)이고, 차남은 국학학유(國學學諭) 김대령(金大齡)이다.
1148년(의종 2)에 예빈승동정(禮賓丞同正) 양적중(梁積中)이 찬(贊)한 것을 돌에 해서(楷書)로 새긴 「김함묘지명(金諴墓誌銘)」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려금석문연구-돌에 새겨진 사회사-(金龍善, 일조각, 2004)
高麗墓誌銘集成(第三版)(金龍善,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1)
朝鮮金石攷(葛城末治, 1935)
朝鮮金石總覽 上(朝鮮總督府, 1915)
韓國金石全文 中世上(許興植, 亞細亞文化社, 1984)
海東金石苑補遺(劉承幹, 1922)
高麗墓誌銘集成(第三版)(金龍善,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1)
朝鮮金石攷(葛城末治, 1935)
朝鮮金石總覽 上(朝鮮總督府, 1915)
韓國金石全文 中世上(許興植, 亞細亞文化社, 1984)
海東金石苑補遺(劉承幹, 1922)
[집필자]
이원배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