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저(李公著)
[상세내용]
이공저(李公著)
1052년(문종 6)∼1137년(인종 15). 고려 중기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증조부는 참지정사(參知政事) 이주헌(李周憲)이고, 조부는 경(卿) 이휘▣(李徽▣)이고, 부친은 봉어(奉御) 이사상(李師象)이다. 외조부는 참지정사 조인(祚仁)이다.
1084년(선종 1) 과거에 문과 급제한 후 수령 등의 지방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관직은 태자소보(太子少保)에 이르렀다.
평상시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을 즐겨 읽었으며, 향년 86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묘는 경기도 개성(開城: 현 황해도 금천군(金川郡) 우봉면(牛峰面)) 고토성(古兎城)에 있다.
1138년(인종 16)에 돌에 해서(楷書)로 새긴 「이공저묘지명(李公著墓誌銘)」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증조부는 참지정사(參知政事) 이주헌(李周憲)이고, 조부는 경(卿) 이휘▣(李徽▣)이고, 부친은 봉어(奉御) 이사상(李師象)이다. 외조부는 참지정사 조인(祚仁)이다.
1084년(선종 1) 과거에 문과 급제한 후 수령 등의 지방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관직은 태자소보(太子少保)에 이르렀다.
평상시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을 즐겨 읽었으며, 향년 86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묘는 경기도 개성(開城: 현 황해도 금천군(金川郡) 우봉면(牛峰面)) 고토성(古兎城)에 있다.
1138년(인종 16)에 돌에 해서(楷書)로 새긴 「이공저묘지명(李公著墓誌銘)」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高麗墓誌銘集成(第三版)(金龍善,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1)
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金龍善,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1)
韓國金石文追補(李蘭暎, 1963)
韓國金石全文 中世上(許興植, 亞細亞文化社, 1984)
簡單なる高麗墓誌銘三例(藤田亮策, 朝鮮金石瑣談, 靑丘學叢 19호, 1935)
역주 고려묘지명집성(상)(金龍善,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1)
韓國金石文追補(李蘭暎, 1963)
韓國金石全文 中世上(許興植, 亞細亞文化社, 1984)
簡單なる高麗墓誌銘三例(藤田亮策, 朝鮮金石瑣談, 靑丘學叢 19호, 1935)
[집필자]
이원배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