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사복(蛇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0ACBCF5FFFFU9999X0
이명(異名)사동(蛇童)
이명(異名)사파(蛇巴)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신라
활동분야가공인물 > 설화인물
출생지경주 만선북리

[상세내용]

사복(蛇福)
생졸년 미상. 신라십성(新羅十聖)의 한 사람. 사동(蛇童)사파(蛇巴)라고도 한다.

경주 만선북리에서 과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열두살이 되어도 말을 못 하고 일어나지도 못하여 이름을 사복이라 하였다. 어느날 어머니가 죽자 고선사(高仙寺)원효(元曉)를 찾아가서 “그대와 내가 옛날 경(經)을 싣고 다니던 암소가 지금 죽었으니 같이 가서 장사지내자.”고 청하였다. 이에 함께 집으로 돌아와 포살(布薩)을 하고 수계(授戒)하였다.

원효는 시체 앞에서 축원하기를 “나지를 말아라, 죽는 것이 괴롭다. 죽지를 말아라, 나는 것이 괴롭다(莫生兮其死也苦 莫死兮其生也苦).”라고 하였다. 사복은 그 말이 너무 길다고 하자 원효는 다시 “죽고 사는 것이 모두 괴롭구나.”라고 하였다. 두 사람이 상여를 메고 활리산(活里山)기슭으로 가서 장사를 지냈다.

사복은 게(偈)를 지어 “옛날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사라수 사이에 열반하셨네. 지금 또한 그와 같은 이가 있어 연화장계관(蓮花藏界寬)에 들어가려 한다(往昔釋迦牟尼佛 婆羅樹間入涅槃 于今亦有如彼者 欲入蓮花藏界寬).”고 하면서 풀뿌리를 뽑고서 시체를 업고 함께 그 속으로 들어가자 땅이 갑자기 합해졌다고 한다.

뒷날 그를 위하여 사람들이 금강산 동쪽 기슭에 도량사(道場寺)라는 절을 세워 해마다 3월 14일에 점찰법회(占察法會)를 열었다.

사복의 전기는 서민 대중적 신라불교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으며 아울러 신라 불국토사상의 일면을 나타내주고 있다.

사복이 세상에 드러난 것은 다만 이것뿐인데, 민간에 떠도는 설화는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중 하나가 「사복불언설화」로 불교적 영이설화(靈異說話)이다. 『삼국유사』 권4 사복불언(蛇福不言)에 들어 있다.

전체적으로 불교성자(佛敎聖者)의 영이담(靈異譚)으로, 남편없는 잉태와 출산, 열두살까지 말도 않고 일어나지도 않았다는 형상, 전세 인연, 장례, 시체를 지고 땅속으로 들어감 등 다양한 설화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사복이 뽑은 띠풀의 자리는 현세와 타계를 연결하는 통로가 되는 지점 곧 우주 중심의 자리요, 띠풀은 이른바 ‘우주의 나무(cosmic tree)’의 변형으로 설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三國遺事
三國遺事所傳의 新羅佛敎思想硏究(金煐泰, 信興出版社, 1979)

[집필자]

金渭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