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설총(薛聰)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124CD1DFFFFB0655X0
자(字)총지(聰智)
시호(諡號)홍유(弘儒)
생년655(태종무열왕 2)
졸년?(미상)
시대신라
활동분야학자 > 유생
원효(元曉)
요석공주(瑤石公主)
조부설담날(薛談捺)
증조부잉피공(仍皮公)

[상세내용]

설총(薛聰)
655년(태종무열왕 2)∼미상. 신라 경덕왕 때의 대학자. 자는 총지(聰智).

증조부는 잉피공(仍皮公, 또는 赤大公), 할아버지는 나마(奈麻) 설담날(薛談捺)이고, 부친은 원효(元曉), 모친은 요석공주(瑤石公主)이다.

아마 6두품 출신인 듯하다. 관직은 한림(翰林)에 이르렀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주설씨(慶州薛氏)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

출생에 대해서는 『삼국유사』 원효불기(元曉不羈)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태종무열왕 때, 즉 654∼660년 사이에 출생한 듯하다.

설총은 나면서부터 재주가 많았고, 경사(經史)에 박통(博通)하였으며 우리말로 구경(九經)을 읽고 후생을 가르쳐 유학의 종주가 되었다. 그리하여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요, 또 강수(强首)최치원(崔致遠)과 더불어 신라삼문장(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손꼽혔다.

『삼국사기』는 “우리말(方言)로 구경을 읽고 후생을 훈도하였다(以方言讀九經 訓導後生).”라 하였고, 『삼국유사』에도 “우리말(方音)로 화이(華夷)의 방속(方俗)과 물명(物名)을 이해하고 육경(六經)과 문학을 훈해(訓解)하였으니, 지금도 우리나라〔海東〕의 명경(明經)을 업(業)으로 하는 이가 전수(傳受)하여 끊이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이 두 기록을 가지고 고려말부터 조선초에 걸쳐서 설총이두창제설(薛聰吏讀創製說)이 비롯되었으나, 이는 틀린 것이다. 여러 기록에서 ‘吏讀‧吏道‧吏吐‧吏套‧吏頭‧吏札’ 따위로 불리는 이 방법은 향가표기법인 향찰(鄕札)을 가리키는 것인데, 우리말로 육경을 읽는 데 능통하였다고 하여서 이것을 이두 내지 향찰의 고안이라고 함은 잘못이다.

향가표기식 방법 즉 향찰의 사용은 이미 설총 이전부터 있었으니, 568년(진흥왕 29)에 북한산 비봉(碑峰)에 세운 진흥왕순수비문 가운데에도 이미 나타나 있고, 또 설총 이전에 향찰로 표기된 향가작품으로는 진평왕 때의 「서동요(薯童謠)」‧「혜성가(彗星歌)」와 선덕여왕 때의 「풍요(風謠)」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설총이 향찰(이두)을 창안한 것이 아니라 향찰을 집대성, 정리한 것이며, 따라서 설총은 향찰의 권위자로 봄이 타당하다.

설총은 육경을 읽고 새기는 방법을 발명함으로써 한문을 국어화하고 유학 내지 한학의 연구를 쉽게 그리고 빨리 발전시키는 데에 공이 컸다.

또 관직에 나아가 문한(文翰)에 관계되는 직, 즉 한림과 같은 직에 있었을 것이며, 신문왕 때에 국학(國學)을 설립하는 데 주동적인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719년(성덕왕 18)에는 나마의 관등으로서 감산사아미타여래조상기(甘山寺阿彌陀如來造像記)를 찬(撰)하였다. 이밖에도 많은 작품이 있었을 것이나 『삼국사기』를 엮을 때 이미 “또 글을 잘 지었는데 세상에 전해지는 것이 없다.

다만, 지금도 남쪽지방에 더러 설총이 지은 비명(碑銘)이 있으나 글자가 결락되어 읽을 수가 없으니 끝내 그것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없다.”고 하면서 완전하게 남은 게 없음을 안타까워 하였다.

한편, 오늘날 설총의 문적(文蹟)으로는 우화적 단편산문인 「화왕계(花王戒)」가 당시 신문왕을 풍간(諷諫)하였다는 일화로서 『삼국사기』 설총열전에 실려 있다. 이 「화왕계」는 「풍왕서(諷王書)」라는 이름으로 『동문선』 권53에도 수록되어 있다.

죽은 뒤에도 계속 숭앙되어 고려 현종 13년(1022) 정월에 홍유후(弘儒侯)라는 시호를 추증받았다. 문묘(文廟) 동무(東廡)에 신라2현이라 하여 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종향(從享)되었으며, 경주 서악서원(西嶽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東史綱目
東文選
增補文獻備考
東師列傳
大明律直解跋文
薛聰(李崇寧, 韓國의 人間像 4, 新丘文化社, 1980)
吏讀에 關한 新考察(金根洙, 國語文學 4―1, 全北大學校, 1955)
吏讀學史硏究序說(康允浩, 국어국문학 15∼20, 1956∼1959)
吏讀起源의 再考察(鄭寅承, 一石頌壽記念論叢, 1957)
新羅六頭品硏究(李基白, 省谷論叢, 1971)
薛聰과 그의 花王戒(朴魯春, 文湖 6‧7 합병호, 建國大學校, 1972)
新羅骨品制下의 儒敎的 政治理念(李基白, 新羅思想史硏究, 1986)

[집필자]

박노춘(朴魯春)

성명 : "설총(薛聰)"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20不得至是時瑩等上疏略曰粤自先聖先師享廟宮之專祀後儒之有功斯文者例得從食於西廡其在我東於羅則有若崔致遠薛聰於麗則有若安裕鄭夢周於本朝則有若金宏弼鄭汝昌趙光祖李彦迪李滉等五儒臣皆其人當明寧之際繼李滉而作爲儒林
國朝彙鑑v1不可强之使同也吾東方禮樂文物侔擬中夏但方言俚語不與之同學書者患其旨趣之難曉治獄者病其曲折之難通昔新羅薛聰始作吏讀官府民間至今行之然皆假字而用或澁或窒非但鄙陋無稽而已至於言語之間則不能達其萬一焉癸亥冬我殿下
大東遺事v1薛聰
大東遺事v1以賜慰懽不已進封開崔致遠從祀國侯食邑千里○庚申追封新羅侍郞崔致遠爲文昌侯從祀先聖廟○壬戌追封新羅翰林薛聰爲弘儒侯從祀先聖廟○辛未姜邯贊卒年八十四王命百姜邯贊官會葬初邯贊之生也有大星隕於其家及長好學多奇
東史撮要v1長好讀書通義理唐詔書至有難解處首能解之王曰見卿頭骨可稱强首 使製謝表文工意盡王奇之授是職至神文王 擢薛聰 高秩王燕居引聰問曰子有異聞爲我陣陳之聰曰昔袍王之始來也有一佳人名薔薇 願薦枕於香帷又有一丈夫名白頭
歷代帝王紀年v01弘儒侯薛聰
歷代帝王紀年v01弘儒侯薛聰字智元以方言解九經以俚語製吏札行於官府官至翰林高麗顯宗時贈弘儒侯從祀文廟僧元曉大師之子
國朝捷錄v01東方自殷太師以後數千餘年人不知學羅季弘儒侯薛聰文昌侯崔致遠雖配孔廡特一文翰之士麗朝崔文憲公安文成公數人始倡道學其後繼起表表可稱者幷書左
國朝捷錄v01薛 聰
國朝捷錄v01淹解佛書識天地之妙薛聰
國朝捷錄v01崔致遠薛聰顯宗朝祀于孔廡我朝因之
國朝祀典寧伯胡安國 華陽伯張栻文肅公黃榦浦城伯眞德秀弘儒候薛聰 文成公安裕文敬公金宏弼文正公趙光祖文純公李滉 文
東寰錄v1薛聰以花王說諷王○神文王嘗燕居。引薛聰曰。子有異聞。爲我陳之。聰曰。昔花王之始來也。有一佳人名薔薇。朱顔玉齒。願薦枕於香帷。又有一丈夫名白
東寰錄v1薛聰以花王說諷王○神文王嘗燕居。引薛聰曰。子有異聞。爲我陳之。聰曰。昔花王之始來也。有一佳人名薔薇。朱顔
靑邱風雲v1薛聰新羅文武王時人以方言解九經義以俚語制吏札行官府崔沖出入將相訓誨後學東方之學自沖始人謂海東孔子字浩
朝鮮歷史v1紀元前七百年壬辰에 薛聰을高秩官에擢다 聰의字 聰智니生明銳고旣長에博學야方言으로九經義解야後生을訓導고
東國名儒錄n1책文敬公金宏弼瑞興本 文成公安裕順興本 弘儒候 侯 薛聰慶州本 文昌公崔致遠慶州本 文忠公鄭夢周延日 文獻
朝鮮科宦譜n1-6책 (淳昌薛氏蔭仕篇) 蔭仕篇 薛聰 氷堂新羅翰林學士弘儒侯享文廟 洪鱗 騎都尉聰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