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간(高文簡)
[상세내용]
고문간(高文簡)
생졸년 미상. 고구려 멸망 후 몽고고원의 돌궐(突厥)로 이주해간 고구려 유민집단의 추장.
몽고지역으로 이주해간 유민들은 몇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져 돌궐의 가한(可汗)에 예속되어 생활하였다. 그 가운데 고문간 집단이 가장 컸던 것 같다. 그는 묵철가한(黙啜可汗)의 사위가 되었으며, ‘고려왕막리지(高麗王莫離支)’라 칭하여졌다.
8세기초 돌궐에 대한 당나라의 공세가 적극화되고, 묵철가한의 횡포에 대한 반란이 내부에서 일어나 돌궐국이 혼란에 빠지게 되자, 그는 고구려유민인 고공의(高拱毅) 집단과 돌궐족의 욱사시부(郁射施部), 토욕혼(吐谷渾)의 모용도노(慕容道奴)집단 등과 함께 715년 오드도스지역으로 내려와 당나라에 투항하였다.
당나라 현종은 그를 좌위대장군요서군왕(左衛大將軍遼西郡王)으로 봉하였으며, 719년 그의 처 아사나씨(阿史那氏)를 요서군부인(遼西郡夫人)으로 봉하였다. 그뒤 그는 계속 당나라에서 생활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몽고지역으로 이주해간 유민들은 몇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져 돌궐의 가한(可汗)에 예속되어 생활하였다. 그 가운데 고문간 집단이 가장 컸던 것 같다. 그는 묵철가한(黙啜可汗)의 사위가 되었으며, ‘고려왕막리지(高麗王莫離支)’라 칭하여졌다.
8세기초 돌궐에 대한 당나라의 공세가 적극화되고, 묵철가한의 횡포에 대한 반란이 내부에서 일어나 돌궐국이 혼란에 빠지게 되자, 그는 고구려유민인 고공의(高拱毅) 집단과 돌궐족의 욱사시부(郁射施部), 토욕혼(吐谷渾)의 모용도노(慕容道奴)집단 등과 함께 715년 오드도스지역으로 내려와 당나라에 투항하였다.
당나라 현종은 그를 좌위대장군요서군왕(左衛大將軍遼西郡王)으로 봉하였으며, 719년 그의 처 아사나씨(阿史那氏)를 요서군부인(遼西郡夫人)으로 봉하였다. 그뒤 그는 계속 당나라에서 생활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新唐書
舊唐書
舊唐書
[집필자]
노태돈(盧泰敦)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