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단군(檀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B2E8AD70FFFFU9999X0
이명(異名)단군(壇君)
이명(異名)단군왕검(壇君王儉)
이명(異名)단웅천왕(檀雄天王)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고조선
활동분야왕실 > 왕
환웅(桓雄)
조부환인(桓因)

[상세내용]

단군(檀君)
생졸년 미상. 우리 민족의 시조로 받드는 고조선(古朝鮮: 檀君朝鮮)의 첫 임금. 단군(壇君)단군왕검(壇君王儉)단웅천왕(檀雄天王)이라고도 한다.

천제(天帝)인 환인(桓因)의 손자이며, 환웅(桓雄)의 아들로 서기전 2333년 아사달(阿斯達)에 도읍을 정하고 단군조선을 개국하였다.
1. 관련문헌자료
우리나라 역사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고조선단군에 관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중국『위서(魏書)』와 우리나라의 『고기(古記)』를 인용한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정사인 『삼국사기』에는 이와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 않아 대비된다.

한편 같은 고려시대의 기록으로 이승휴(李承休)『제왕운기(帝王韻紀)』가 있으며, 이와 비슷한 내용이 조선 초기의 기록인 권람(權擥)『응제시주(應製詩註)』『세종실록』 지리지 등에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단군에 관한 문제를 논급할 때 일차적으로 『삼국유사』의 기록을 인용한다.
2. 삼국유사제왕운기의 기록
먼저 『삼국유사』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옛날 환인의 서자(庶子: 장남이 아닌 차남 이하의 아들을 말함.) 환웅이 자주 세상에 내려가 인간세상을 구하고자 하므로 아버지가 환웅의 뜻을 헤아려 천부인(天符印) 3개를 주어 세상에 내려가 사람을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이 무리 3,000을 거느리고 태백산(太伯山) 꼭대기의 신단수(神壇樹)밑에 내려와 그곳을 신시(神市)라 이르니 그가 곧 환웅천왕이다. 그는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穀)‧명(命)‧병(病)‧형(刑)‧선(善)‧악(惡) 등 무릇 인간 360여가지 일을 맡아서 세상을 다스렸다.

이때 곰 한마리와 범 한마리가 있어 같은 굴 속에 살면서 환웅에게 사람이 되게 해달라고 빌었다. 환웅은 이들에게 신령스러운 쑥 한줌과 마늘 20쪽을 주면서 이것을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된다고 일렀다. 곰과 범이 이것을 받아서 먹고 근신하기 3‧7일(21일)만에 곰은 여자의 몸이 되고 범은 이것을 못 참아서 사람이 되지 못하였다.

웅녀(熊女)는 그와 혼인해주는 이가 없으므로 신단수 아래에서 아이를 가지게 해달라고 기원하였다. 이에 환웅이 잠시 변해 혼인하여 아이를 낳으니 그가 곧 단군왕검(壇君王儉)이다.

왕검이 당고(唐高: 중국의 성군인 三皇五帝 가운데 堯임금을 말함. 당시 고려의 3대 왕인 定宗의 이름이 堯인 까닭에 이를 피하여 비슷한 의미인 高자로 대신 쓴 것임.) 즉위 후 50년인 경인(庚寅: 당고의 즉위년은 戊辰인즉 50년은 丁巳요 경인이 아니니 틀린듯함.)에 평양성(平壤城)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이라 일컬었다. 이어서 도읍을 백악산(白岳山)아사달로 옮겼는데 그곳을 궁홀산(弓忽山: 弓 대신 方자로도 씀.) 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고도 하였다.

단군은 1,500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고 주(周)나라 호왕(虎王: 주나라의 武王을 말함. 고려 2대왕 惠宗의 이름 武를 피한 것임.)이 즉위한 기묘년에 기자(箕子)조선의 임금으로 봉하니 단군은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겼다가 뒤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서 산신이 되니 나이가 1,908세였다.” 한편, 『제왕운기』에서는 『본기(本紀)』(본기는 ‘단군본기’인 듯함.)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상제(上帝)인 환인에게 서자인 웅(雄)이 있었다.

......(아버지가)일러 말하기를 내려가 삼위태백(三危太白)에 이르러 널리 사람에게 도움을 주라 하여 웅이 천부인(天符印) 3개를 받아 귀신〔鬼〕 3,000을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 신단수 아래 내려오니 이가 바로 단웅천왕이다. ......손녀로 하여금 약을 마셔 사람이 되게 하고 단수신(檀樹神)과 혼인하여 단군(檀君)을 낳았다.

조선지역에 근거하여 왕이 되었다.

그런 까닭에 시라(尸羅: 신라?)‧고례(高禮: 고구려?)‧남북옥저(南北沃沮)‧동북부여(東北扶餘)‧예(濊)와 맥(貊)이 모두 단군의 후계이다.

1,038년 동안 다스리다가 아사달산(阿斯達山)에 들어가 신이 되었으니 죽지 않은 까닭이다.”
3. 『삼국유사』『제왕운기』 내용비교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단군에 관한 내용을 전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두 기록은 기본적인 내용에서는 비슷하나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단군을 표현함에 있어 『삼국유사』에서는 ‘제단 단(壇)’자로 단군을 기록하고 있고 『제왕운기』에서는 ‘박달나무 단(檀)’자를 사용하여 그 의미를 각기 다르게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후자로써 단군을 나타낸다.

한편, 『삼국유사』에서는 고조선조에서 단군조선기자조선을 함께 기록하고 있으나, 『제왕운기』에서는 전조선(前朝鮮)이라는 항목에서 단군에 의한 조선을 기술하고, 후조선(後朝鮮)항목에서 기자에 의한 조선을 언급하여 후속하는 위만조선과 함께 삼조선(三朝鮮)으로 구분, 파악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내용면에서는 『삼국유사』에서 곰이 변한 웅녀와 환웅 사이에서 단군이 출생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제왕운기』에서는 단웅천왕이 손녀에게 약을 먹여 사람이 되게 한 뒤 단수신과 혼인시켜 낳은 아들이 단군으로 나타나고 있다.
4. 『삼국유사』 기록에 대한 견해
이같은 관련내용은 단군관계 연구에 있어 기본적인 자료로서 활용되었으나, 중심적 내용은 『삼국유사』의 내용이 근간이 되어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다.

첫째, 이 신화는 고조선의 한 종족신화(種族神話)이던 것이 대몽항쟁(對蒙抗爭) 등 민족의 단합이 요구되는 시대를 맞아서 민족의 시조로 받들게 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단군에 관한 기사가 실려 있는 『삼국유사』의 편찬시기가 위에서 언급한 시대와 거의 같다는 점도 유의할만하다.

이는 앞서 『제왕운기』구월산(九月山)아사달산으로 보고 거기에 사당이 존재한다는 내용과도 연결된다.

한편,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세종평양에 사당을 지어 단군고구려 시조 동명왕을 함께 모신 이후로는 명실상부한 국조(國祖)가 되었다.

또, 구월산에 삼성사(三聖祠: 환인‧환웅‧단군을 배향)가 있고 강동(江東)에는 단군의 무덤이 있다는 주장까지 등장하였다.

둘째, 단군과 관련하여 ‘불함문화론(不咸文化論)’이라는 견해가 전개되었다.

즉, 중앙아시아로부터 한반도‧일본 등을 포함하는 지역에 ‘사상’중심의 신앙과 사회조직을 가지는 민족이 분포하는데, 종족적 관계는 어쨌든간에 문화적으로 일련의 관련이 있다는 견해이다. 여기서 백산(白山)이 그 중심이고 이 문화가 구체적으로 우리 역사에서 나타난 실체가 단군과 부루(夫婁)라고 이해하였다.

셋째, 단군신화를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언급한 견해도 제기되었다.

즉, 문헌에 보이는 자료를 토대로 산둥성(山東省)에 있는 무씨사당(武氏祠堂)석실내의 화상석(畵像石)에 주목하여 단군신화의 내용이 화상석의 그림과 일치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단군신화의 내용에 북방계의 샤머니즘이 관련되며, 이들 특성은 종족이동에 의하여 이해되는 것으로 언급되었다.

최근 이 견해의 근간이었던 무씨사당 화상석의 내용이 단군신화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넷째, 단군신화에 관한 문헌 위주의 해석에서 역사적 입장의 결론을 내린 견해가 있다.

즉, 이 신화가 삼신사상의 표현이고 구체적으로는 태양신화와 토테미즘의 두 계통의 신화가 혼재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신화를 달리하는 두 종족이 정치‧사회적으로 통합되었을 때 두 종족의 시조신화가 혼재된 것이며, 이는 고조선의 일부족적 시조설화였던 것인데 삼국통일과 고려시대에 민족의식이 고조되면서 한민족의 시조신화로 변하여갔다고 이해하였다.

다섯째, 천신족인 환웅이 지신족인 고마족의 여성과 혼인하여 단군이 출생하였다는 것을 설화화한 것으로 보고 ‘단군’이라는 호칭은 무군(巫君), 즉 제주적 의의(祭主的意義)가 많고 ‘왕검’이라는 호칭은 정치적 군장(君長)의 의의가 강하다고 보아 종교적 기능과 정치적 기능이 명칭상에서 구분된다고 파악한 견해도 제시되었다.

여섯째, 단군신화를 기본적으로 신화로서 취급하지 않고, 또한 토테미즘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태도를 벗어나 우리 민족 태고의 의식을 보여주는 사실로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 이 견해는 미개부족들의 원시신앙에 관한 내용을 『삼국유사』의 기록과 비교하여 농경관계 기사를 곡물재배민족의 제의(祭儀)로 파악하고 환웅과 웅녀를 쌍분체제(雙分體制, dual organization)로 간주하여 곰과 범이 한 굴에서 살았다는 내용을 일광금기(日光禁忌)와 탈피(脫皮)동기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하였다.

일곱째, 단군신화의 신화자체 속에 나타난 사회상을 강조하고, 또 이를 신봉한 집단이 어떠한 사회집단이었는가를 강조한 견해도 있다. 이 견해는 고조선의 계보가 한족(漢族)의 기자전설의 개입으로 혼란이 있었음을 지적하고, 단군조선에서 위만조선으로 교체되는 것으로 이해하여 단군조선과 종래의 기자조선을 포함한 시대를 일괄 고조선으로 이해한다.
5. 단군출현시기
이상의 여러 견해들을 감안할 때 단군에 관한 이해는 문헌과 고고학적 방법을 연결시켜 단군신화를 분석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보여준다.

즉, 단군신화가 포용하고 있는 역사의 시대가 과연 고고학적으로 어떠한 문화를 내포한 시대인가 하는 문제이다.

단군을 중심으로 볼 때 웅녀의 존재는 곰〔熊〕의 자손이라는 사상이 중심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신화내용을 동북아시아지역과 연결시켜 고려할 때 고아시아족(Paleo Asiatic)의 존재를 주목하게 된다. 고아시아족의 시조신화가 곰숭배사상을 지니고 있고 그들은 곰의 자손이라고 믿고 있다.

또한, 고아시아족은 곰숭배와 함께 샤머니즘이라는 종교적 요소를 보유하고 있는데, 최고의 샤먼을 지칭하는 텡그리(tengri)와 ‘단군’과의 관련성 및 그 기능과 관련된 세계목(世系木)관념이 신단수 등으로 나타나고 있어, 단군신화의 내용을 고아시아족과 연결시켜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우리의 신석기문화가 시베리아지역과 관련되며, 시베리아 신석기문화의 담당자가 고아시아족이라는 사실은 단군신화의 시대적 성격이 신석기문화와 연결되고 있다고 이해하게 한다.

이와같은 사실은 신석기시대의 대표적인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가 청동기시대의 무늬없는토기〔無文土器〕로 변화한다는 사실이 곧 종족과 문화의 변화에서 결과한 것이라는 것을 염두에 둘 때, 우리의 청동기문화를 담당한 종족이 알타이계통의 예맥족이며, 그 출현시기가 이른바 기자조선으로의 변화시기와 부합하는 데서 그 전환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단군의 개국연대가 중국임금과 연결되어 있으나 이 점도 더 연구를 필요로 한다.

최근 이 시기의 문제와 관련하여 요령(遼寧)지역의 풍하문화(豊下文化: 夏家店下層文化)가 청동기문화로서 단군의 개국연대와 연결된다는 견해가 있으나 이, 문화는 우리와 직접적 관련성이 약한 것으로 이해된다.
6. 단군신화의 의의와 대종교
한편, 단군신화를 시대적 변화를 계기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이해한 견해가 있다.

즉, 첫째 단계에서는 씨족사회에서의 단순한 씨족토템이 생겼고, 둘째 단계에서는 ‘군사 민주주의 단계’로 이행하는 시기에 ‘군사수장’으로서의 단군이 등장하였고, 셋째 단계에서는 계급국가형성 후 고조선 국왕으로서의 단군이 등장한 것으로 보았는데, 보다 철저한 검증이 요구된다.

또, 단군관계 문헌을 분류하여 『삼국유사』를 불가(佛家)계통의 사서로, 『제왕운기』 등은 유가(儒家)계통의 사서로 보고, 도가(道家)계통의 사서로서 『규원사화(揆園史話)』『환단고기(桓檀古記)』 등을 제시하여 단군조선의 역사가 47대의 마지막 왕에 이르기까지 실사(實史)였음을 강조한 견해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원래 신화는 역사적인 사실 바로 그 자체는 아니라 하더라도, 그 속에 내재된 역사성을 중시하여야 하며, 어떤 맥락에서든 신화의 의미는 풀려야 한다.

그러나 단군의 개국신화를 그대로 왕조사인 것처럼 해석하는 것은 무리한 점이 많다.

어쨌든, 이 단군신화는 우리 민족이 수난을 당하고 위기에 처할 때마다 민족의 단합을 요구하는 구심체 구실을 하여왔고, 계속 그와같은 의미와 가치를 유지할 것이다.

한편, 단군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종교로 발전한 것이 대종교(大倧敎)이다. 개천절은 이 종교에서 행하던 의식이었으나 광복 후에는 정부에서 정식으로 개국에 관한 국경일로 정하게 되었다.

한동안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단기(檀紀)는 고려우왕의 사부였던 백문보(白文寶)가 사용한 예에서 처음 보이며, 이것의 기원은 조선시대의 사서인 『동국통감』에서 고조선의 건국을 요 즉위 25년 무진으로 본 것에 근거하여 단기원년을 서기전 2333년으로 보게 되었다. 단기의 사용은 1962년 1월 1일부터 중지되고 서기(西紀)로만 쓰게 되었다.

[참고문헌]

三國遺事
帝王韻紀
檀君神話의 新硏究(金載元, 正音社, 1947)
古朝鮮硏究(李趾麟, 학우서방, 1963)
檀君實史에 관한 文獻考證(李相時, 가나출판사, 1987)
古朝鮮(유 엠 부찐, 국사편찬위원회역, 1986)
不咸文化論(崔南善, 朝鮮及朝鮮民族 1, 朝鮮思想通信社, 1927)
단군신화와 민족적 이념(이홍직, 국사상의 제문제 1, 국사편찬위원회, 1959)
檀君神話와 토테미즘(金廷鶴, 歷史學報 7, 1954)
檀君神話의 한 硏究(黃浿江, 白山學報 3, 1967)
古朝鮮의 住民構成과 文化的 複合(金貞培, 白山學報 12, 1972;韓國民族文化의 起源, 高麗大學校出版部, 1973)
檀君神話의 問題點(李基白, 韓國古代史論, 探求堂, 1975)
阿斯達의 位置問題와 그 名稱의 意義(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古朝鮮의 再認識(金貞培, 韓國史論 14, 1985;韓國古代의 國家起源과 形成, 高麗大學校出版部, 1987)
古朝鮮의 國家形成(李基白, 韓國史市民講座 2, 一潮閣, 1988)
檀君考(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近澤書店, 1937)

[집필자]

김정배(金貞培)
대표명단군(檀君)
왕명단군(檀君), 왕검(王儉), 왕검(王險)

왕명 : "단군(檀君)"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檀君朝鮮都平壤後徙白岳
歷代總要v03在玄菟北千餘里東接挹婁西接鮮卑南接高句麗北有弱水地方二千里○檀君子解夫婁避箕子立㕵於扶餘夫婁薨子金蛙嗣傳國至高句麗文咨王四年甲戌降自周武王己卯至此一千六百十六年
國朝編年v01檀君後唐堯二十五年而立我太祖亦後明太祖二十五年而興自唐堯元年甲辰至明太祖元年戊申三千七百二十五年自檀君元
國朝彙鑑v1情狀未著吹毛求疵則有損於大體也不聽仍命罷集賢殿其所藏書籍令藝文館掌之秋七月更定歷代始祖位版曰朝鮮始祖檀君之位曰後朝鮮始祖箕子之位曰高句麗始祖東明王之位皆加之位二字
國朝彙鑑v1二年春正月始親祀圓丘初東方自檀君感生祭天以報本祭天壇在江華摩尼山而新羅高句麗百濟以及高麗皆因襲祭天我太祖定都漢陽倣前朝制度築圓丘於南
國朝彙鑑v1三年春正月立桓因桓雄檀君三聖廟于文化之九月山依平壤檀君廟例歲送香祝以祭之從黃海道觀察使李芮之請也三月禮曹啓曰式年諸科自正月至
紀年便攷v8初東方自檀君感生祭天以報
紀年便攷v8祭于永崇殿太祖真殿又祭于檀君箕子東明王御大同館設養老宴申叔舟自北来朝錄北征㓛加洪允成䓁資上御浮碧樓見壁上有高麗毅宗詩遂御製詩命随
紀年便攷v9立桓因桓䧺檀君三聖廟於文化九月山
東國歷代總目v01檀君箕子東國通鑑以外記載之蓋緣世代事蹟不能詳也然檀君乃▣出之神君箕子卽立敎之聖后歷年始終猶可考信故尊而書
東國歷代總目v01地世傳昔有朴進士吹笛淵上龍女感之引以爲夫故名朴淵○龍門山在楊根郡東十里○摩尼山在江華府南二十五里世傳檀君所築祭天之處○禮成江在開城府西三十里高麗朝宋使臣皆於此發舡故謂之禮成○臨津渡在長湍府南其源出咸鏡道安
東國歷代總目v01首陽山在海州府東五里○九月山在文化縣西十里雄盘於長連殷栗之境卽阿斯達山檀君末年入於此山
東國歷代總目v01平壤本檀君箕子衛滿所都之地故稱三朝鮮漢武帝時爲樂浪郡高句麗東川王來都至寶藏王爲新羅所幷高麗時稱爲西京○成川古沸
東國歷代總目v01檀君紀名王儉史記評林作王險○東方初無君長有九種夷草衣木食夏葉冬穴有神人降于太白山檀木下時有一熊祈于天神願
東國歷代總目v01檀君元年戊辰至高麗恭讓王末年壬申歷年通共三千七百二十五年
震史記略v1三年壬辰命崔涇安貴生畵照憲王后世祖睿宗晬容奉安于璿源殿○建三聖祠於文化九月山以祀桓國桓雄檀君歲送香祝以祭從觀察李芮之請也○三月禮曹啓曰諸科自正月至五月畢科有妨於農請依中朝例寅申巳亥秋爲初試子午
震乘總v1○高麗時用銀甁爲貨名曰闊口象我國地形狹而長也徐居正藝苑雜記曰唐堯甲辰至洪武戊申摠三千七百八十五年檀君戊辰至我太祖壬申亦三千七百八十五年吾東方曆數大槪與中國同帝堯作而檀君興周武立而箕子封漢興而
羹墻錄v1檀君時人
見睫錄v1東方初無君長有神人降于太白山檀木下國人立之爲君是爲檀君國號朝鮮是唐堯戊辰歲也初都平壤後徙白岳至商武丁八年乙未入阿斯達山爲神傳世不知其幾而享年千四十八年東
見睫錄v1有一熊祝神願作人夕遺靈艾一炷蒜二十枚使食熊食之三七日化爲女每於檀樹下祝願有孕雄乃假化而昏之生子曰檀君以唐堯庚寅都平壤御國一千五百年周武王己卯封箕子於朝鮮檀君卽移少藏唐京後還隱於阿斯達山爲神壽一千
見睫錄v1檀君後唐堯二十五年而立我太祖亦後明太祖二十五年而興自唐堯元年甲辰至明太祖戊申三千七百二十五年自檀
見睫錄v1日水不甚漲及其仗義旋師大水時至全島墊沒光武滹沱之水元祖錢塘之潮皆不得專美矣九變圖之局十八子之說自檀君之世已有歷數千載乃驗有異僧得異書于智異巖石中與上所謂出於檀君之世者相合此亦光武赤伏符之類讖緯之說
見睫錄v1檀君初立命彭吳治國內山川以奠民居今春川牛首川有彭吳碑東方遺事
見睫錄v1妙香山一名太白山乃檀君初降之地在寧邊府東一百三十里彌亘於數百里與遼陽爲界山之大莫之與比卽長白之所分東史
見睫錄v1九月山在文化縣西十里雄蟠於長連殷栗之間卽阿斯達山卽檀君末年之所入也東史
見睫錄v1摩尼山在江華府南二十五里世傳檀君所築祭天之處東史
見睫錄v1檀君唐堯二十五年戊辰初都平壤國號朝鮮享年或云傳世一千四十八年後孫避箕子來封移都白岳一名唐藏今文化又三
見睫錄v1箕子周武王元年己卯都平壤國號朝鮮享國九百二十八年四十一代孫箕準避衛滿奔馬韓檀君名王儉故平壤稱王儉城上同○按平壤外城箕子時所築
大東遺事v1檀君朝鮮
大東遺事v1檀君扶婁北扶餘○商亡箕子至朝鮮金蛙徙伽葉原爲東扶餘扶婁禱鯤淵得末秦幷天下朱蒙句麗始祖○金蛙之子溫
大東遺事v1東方初無君長只有九種夷草衣木食夏巢冬穴有神人降于太白今妙香山檀木下人共立爲君號曰檀君國號朝鮮初都平壤後都白岳○古記云昔有天神降于太白時有一熊祈于天神發願爲人遂食蒜二十枚不見日光三七日後
大東遺事v1祖東明王本姓解氏又姓高氏名朱蒙或云以其乘日光而生故姓稱高桓扶婁立於漢元帝建昭二年甲申○初檀君之子桓扶婁爲北扶餘王都鴨綠水邊夏禹會諸侯時扶婁朝焉一云天帝解慕漱以漢宣帝神爵壬戌解慕漱歲降
大東彙纂v1檀君握三印而創國家箕師設八敎而敎國人上下數千載之間間或有世道之治亂人物之臧否而典章無據姓名無聞蓋史家之
歷代帝王紀年v01檀君唐堯二十五年戊辰神人降于太白山檀木下國人立以爲君名王儉都平壤國號朝鮮後徙白岳周武王封箕子于朝鮮檀君入
歷代帝王紀年v01○高句麗國始於漢建昭二年終於唐総章元年○始祖東明王本姓解改姓高名朱蒙初檀君子扶餘王解扶屢無子見石中生小兒或云鯤淵金色蛙形收養之後爲卒本扶餘王壻移都東海濱國號東扶餘與新羅始祖竝
國朝捷錄v01檀君王儉見東國史朝鮮本紀東史寶鑑等書東明王朱蒙述郞新羅人見輿地誌下同南郞永郞安詳玉寶高景德王時人金謙孝蘇
靑邱風雲v1以史家統系之義言之則檀君箕子以首出之神人立敎之聖君宜爲東方正統之首衛滿雖據朝鮮舊地而箕準之於馬韓猶昭烈之於西蜀則衛滿
靑邱風雲v1檀君名王儉唐堯二十五年戊辰卽位都平壤武丁八年卒葬于江東在位一千十七年傳子夫婁己卯箕子以武王命來歷
靑邱風雲v1高句麗東明王名朱蒙姓高金蛙之子檀君之後元年甲申漢元帝建昭二年新羅王二十一年初都成川後都義州又後都平壤至寶藏王唐將李勣等與羅兵共滅
靑邱風雲v1謹按檀君後唐堯二十五年而卽位我太祖大王後大明太祖皇帝二十五年而卽位自檀君元年戊辰至我太祖元年壬申三千七
靑邱風雲v1今江華麗高宗避蒙古入都號江都摩尼山在府南檀君祭天處云
朝鮮歷史v1檀君
朝鮮歷史v1檀君은名은 王儉이니或云王□이라니라東方에쳐음에君長이無더니神人이有야太白山檀木下에降거國人이
韓史綮v1字中聲十一字三聲轉換互相爲用諸言語凡文字之所不能記者悉通無礙而五音淸濁輕重平仄之類亦備焉或曰國文自檀君時已有之高麗僧了義傳而記之至王演成云
歷代通運v1吾大東初無君長神人生於太白山檀木下卽檀君也與堯幷立則檀君卽位之元年卽帝堯建元之二十五年戊辰也都平壤國號朝鮮堯以甲辰檀以戊辰則附錄于大年之
歷代通運v1夏后十八年甲戌檀君遣子扶屢朝於塗山
歷代通運v1武丁八年檀君入阿達山爲神在位一千四十八年
歷代通運v1附錄檀君世紀至武王己卯元年一千二百十二年檀君姓王氏名儉國在天下之東以日先出故號朝鮮白頭山爲地之根山出兩
國朝人物志v3而名不稱固無其實也實有可名而或不能久者未始不由乎史筆之沒之也惟我東國之厥初生民尙矣其有君長始自檀君逮于箕子三韓新羅上下數千年人物之可考豈一二而止哉然而滄桑浩劫寥寥無聞者寔無史學之所致
(新編) 尺牘大方v1檀君諱王儉都平壤(唐藏京)(今文化)紀元戊辰唐堯二十五年)傳世○歷年一千二百十二
(新編) 尺牘大方v1今江華麗高宗避蒙古入都摩尼山在郡南二十五里檀君祭天處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