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황기로(黃耆老)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69AE30B85CU9999X0
자(字)태수(鮐叟)
호(號)매학정(梅鶴亭)
생년1521(중종 16 )
졸년1567(명종 22)
시대조선전기
본관덕산(德山)
활동분야예술‧체육 > 서예가
저서『고산집』

[상세내용]

황기로(黃耆老)
1521년(중종 16)∼1567년(명종 22). 조선시대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자는 태수(鮐叟), 호는 고산(孤山)매학정(梅鶴亭).

1534년(중종 29)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벼슬은 별좌에 그쳤다.

특히, 초서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다. 『근묵(槿墨)』 등에 약간의 진적이 전하며, 『관란정첩(觀瀾亭帖)』『대동서법(大東書法)』 등에 필적이 모각되어 있다. 이밖에 현전하는 『고산서첩(孤山書帖)』이백(李白)이 쓴 「회소상인초서가(懷素上人草書歌)」를 석각(石刻), 탁본한 것으로(1549년 씀.), 필치가 당나라 회소(懷素)『자서첩(自敍帖)』중 광초(狂草)를 방불한다. 금석으로 충주의 이번신도비(李蕃神道碑, 1555)가 있다.

조선시대 서예사에서 초서로는 김구(金絿)양사언(楊士彦)과 함께 제1인자라는 평을 받아왔으며, 후대에 크게 영향을 미쳐 비슷한 풍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저서에 『고산집』이 있다. 아우인 황영로(黃榮老)도 초서를 잘 썼다고 한다.

[참고문헌]

槿域書畵徵
韓國美術全集 11―書藝―(任昌淳編輯, 同和出版公社, 1973)

[집필자]

이완우(李完雨)

성명 : "황기로(黃耆老)"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2黃耆老
紀年便攷v12黃耆老昌寧人字鮐叟號孤山中宗朝進士以草聖名於世入筆糿弟榮老亦善書
野乘v9黃耆老嗜飮酒善草書
野乘v9黃耆老嗜飮酒善草書欲得其書者設大宴邀之遠近賓客各持縑素華牋千百軸耆老多多益辦而不擇笔之美惡亦不持自家而去但
歷代帝王紀年v01金玄成南窓姜鶴年復泉黃耆老孤山
國朝捷錄v01善詩士彦三兄弟士奇文府竹齋士俊文僉正根皐士彦淮陽府使子萬古文府子萬世善書士彦之枚皐也蜀體李海龍寫字官黃耆老孤山艸聖韓濩景洪石峯世居松京刑郞自作體尹根壽月汀判中晋體李弘胄伯允梨川晋體金光炫善篆吏判仙源子曺文秀
靑邱風雲v1訥菴姜暹號松堂崔山斗號新蠹菴奇遵號復齋洪暹號芷齋李植號龜菴沈逢源號友松堂李士弼號睡隱黃耆老號孤山黃俊良號錦溪宋麟壽號圭菴白仁傑號休菴朴光佑號潛昭堂宋麒壽號秋波趙光祖號靜菴字孝
東國續修文獻錄v1玉山善畫琴栗谷弟金麟厚見湖堂李忠元松菴蜀李滉見儒林李山海見相蜀李文楗卞巚楊士彥應聘蓬萊李海龍寫字官黃耆老孤山金玄成慶餘南窓蜀金景熹用晦蘆溪生員韓濩景洪石峯居松都晉白光勳彰卿玉峯晉李潚陽井晉尹根壽見功臣張維
國朝人物志v2輯要李海龍字海叟號北嶽以寫字官著名金景熹號蘆溪中生員李潚號陽井黃耆老字鮐叟號孤山官至別坐以草聖得名以上明宗朝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