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알지(金閼智)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54CC9C0B0065X0
생년65(탈해이사금 9)
졸년?(미상)
시대신라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시조

[상세내용]

김알지(金閼智)
65년(탈해이사금 9)∼미상. 신라인으로 경주김씨의 시조.

『삼국사기』에 의하면 탈해이사금 9년에 왕이 금성(金城)서쪽 시림(始林) 속에서 우는 닭의 울음소리를 듣고 호공(瓠公)을 보내어 살펴보게 하니, 황금빛의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빛이 궤에서 나오며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보고 돌아와 왕께 고하니 왕이 친히 가서 궤를 열어보자 용모가 수려한 사내아이가 나왔다.

이때부터 시림을 ‘계림(鷄林)’이라 하고, 이를 국호로 삼았다.

탈해왕은 이 아이를 거두어 길렀는데 금궤에서 나왔다고 해서 성을 ‘김’씨로 하였으며, 성장함에 따라 총명하고 지략이 많아 ‘알지’라고 이름하였다 한다.

그런데 『삼국유사』에도 알지설화가 수록되어 전하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삼국사기』와 약간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인 줄거리는 같은 내용이다. 이러한 내용은 박‧석 양씨보다 먼저 경주지역에 정착했으나 정치적으로는 뒤에 그 비중이 커지게 된 김씨부족이 그들의 토템인 닭과 그들의 조상을 연결하여 이같은 설화를 탄생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알지’라는 명칭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삼국유사』에서는 그것이 ‘아기’라는 뜻이라고 했으며, 이후 많은 학자들이 이를 따르기도 했으나, 근래에는 ‘Ar’부족, 즉 ‘금(金)’부족의 족장이라고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알지의 아들은 김세한(金勢漢) 또는 김세한(金熱漢)이며, 그뒤의 계보는 아도(阿都)수류(首留, 혹은 水留)욱보(郁甫, 또는 郁部)구도(俱道, 또는 仇刀)로 이어지며 구도의 아들은 김씨로서는 최초로 왕위에 오른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이다. 미추이사금알지의 7세손이 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羅上古世系와 그 紀年(金哲埈, 歷史學報 17‧18合輯, 1962;韓國古代社會硏究, 知識産業社, 1975)
新羅上古世系考(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1954)

[집필자]

이형우(李炯佑)
대표명김알지(金閼智)
알지(閼智)
성명김알지(金閼智)

성명 : "김알지(金閼智)"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武中元二年丁巳立在位二十四年壽九十九父多婆那㕵王母女㕵王女妃阿留夫人南解王女墓在慶州北壤井丘○乙丑得金閼智○同年改㕵號鷄林○己卯滅于尸居㓒二㕵
東國歷代總目v01丁巳元年漢光武中元二年○乙丑王得金閼智養爲子改國號鷄林○王夜聞金城西始林間有鷄聲遲明遣瓢公視之有金色小櫝掛樹梢白鷄鳴於下瓢公還告王使人取櫝
寒臯觀外史v22洛囯今金海府○新羅始祖赫居世姓朴氏號居西干子南觧王號次次䧺子儒理王號尼師今脫觧王姓昔氏南觧王長女壻得金閼智飬爲子脫觧代儒理而立改囯號鷄林旣卒儒理王第二子婆姿王立傳祇摩王逸聖王阿逹羅王凡三世而脫觧之孫伐休王立
歷代帝王紀年v01年讓于脫解脫解以儒駕洛立國理立之號居師今在位二十年駕洛立國○脫解王姓昔南解壻在位二十三年中元二年立養金閼智爲子國號鷄林○婆娑王儒理子建初五年立在位三十三年○祗麻王婆娑子榮初六年立在位三年○逸聖王祗麻子陽嘉三
文獻攷略v20人所疑泛海抵辰韓生赫居世遂爲神云云今慶州有聖母祠高朱蒙則晉書載記云高句麗之人自言高辛氏之後姓高氏云云金閼智則武烈王金信碑以小昊金天氏爲系其變幻不的如此又豈可襲謬而傳訛耶疑固可傳訛不可傳也東史
文獻攷略v20○三韓舊傳檀君父桓雄夫妻子金蛙東明卵生赫居世出於瓢昔脫解金閼智首露王皆從天降又耽羅高夫梁三姓從毛興穴出甄萱爲大蚯蚓子麗祖爲唐宣宗之孫范增之先出於摩尼山孫權之先出於
攷事新書v1脫解王姓昔氏南解王長女壻得金閼智養爲子改國號鷄林元年卽漢光武中元二年丁巳
朝鮮歷史v1紀元前一千三百二十七年乙丑에新羅王이 金閼智得야養야爲子고國號改야雞林이라다始에王이夜에聞니金城西始林間에雞聲이有거 瓢公을
朝鮮科宦譜n1-6책 (慶州金氏蔭仕篇) 蔭仕篇 金閼智 見新羅國系 勢漢 居西干閼智子 阿道 波干勢漢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