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문익(鄭文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BB38C775B1571X0
자(字)위도(衛道)
호(號)송죽당(松竹堂)
생년1571(선조 4)
졸년1639(인조 17)
시대조선중기
본관초계(草溪)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응탁(鄭應鐸)
저서『송죽당집』

[상세내용]

정문익(鄭文翼)
1571년(선조 4)∼1639년(인조 1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위도(衛道), 호는 송죽당(松竹堂). 첨정 정응탁(鄭應鐸)의 아들이다.

1606년(선조 39) 진사가 되고, 1611년(광해군 3)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사간원정언이조좌랑을 거쳐 홍문관교리가 되었다.

1612년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무고하여 강화로 몰아냈던 대북의 영수 이이첨(李爾瞻)으로부터 박승종(朴承宗)유희분(柳希奮)의 심복이라 하여 미움을 받았다.

1616년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한찬남(韓纘男)의 상변사건(上變事件, 海州獄事)에 연루되어 진도로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와 죽산부사로 있던 중 이괄(李适)의 난 평정에 공이 컸으며, 1628년(인조 6) 회답사(回答使)심양(瀋陽)에 다녀와 충청감사를 지냈다.

저서로는 『송죽당집』이 있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희권(李羲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