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목대흠(睦大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AA9B300D760B1575X0
자(字)탕경(湯卿)
호(號)죽오(竹塢)
생년1575(선조 8)
졸년1638(인조 16)
시대조선중기
본관사천(泗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목첨(睦詹)
외조부정건(鄭謇)
저서『다산집(茶山集)』

[상세내용]

목대흠(睦大欽)
1575년(선조 8)∼1638년(인조 1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자는 탕경(湯卿), 호는 다산(茶山) 또는 죽오(竹塢).

이조참판 목첨(睦詹)의 아들이며, 모친은 증병조판서 정건(鄭謇)의 딸이다.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160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07년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을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이어 부응교(副應敎)집의(執義)를 거쳐, 1612년 광주목사(廣州牧使)를 지내고 공조참판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영의정 이원익(李元翼)의 종사관으로 종군하여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다.

1632년 예조참의가 되고 이듬해 강릉부사가 되었는데, 민심을 얻어 나중에 유애비(遺愛碑)가 세워졌다. 천성이 고결하고 시문에 뛰어났다. 통훈대부(通訓大夫)홍문관교리(弘文館校里)지제교 겸 경연시독관(知製敎兼經筵侍讀官)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다산집(茶山集)』이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朝鮮圖書解題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이존희(李存熙)
대표명목대흠(睦大欽)
대흠(大欽)
성명목대흠(睦大欽)
탕경(湯卿)
다산(茶山), 죽오(竹塢)

성명 : "목대흠(睦大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爲有懷必達且其心以爲此乃今日難言之言也故自謂能言人所不敢言之言正宜容之以來言者云○遣承旨鄭岦禮曹參議睦大欽中官金忠立于濟州陪還府夫人盧氏仍斬濟州牧使梁護夫人竄濟州時護待之無狀夫人自鬻酒以爲延命護乘醉至令下人
紀年便攷v19睦大欽叙欽弟宣祖乙亥生字湯卿號茶山乙巳進士同年登增廣光海朝選湖堂政亂斥外十年仁祖反正歴銓郞甲子适亂為軆相李
紀年便攷v19睦大欽
記聞v1李爾瞻洪瑞鳳金尙憲趙希逸金緻柳潚鄭廣成睦大欽李志完李民宬李厚李久光海戊申秋大提學柳根
小華龜鑑v10官參判金緻字而精號深谷官監司柳潚字淵叔號醉吃夢寅侄官副學鄭廣成字壽伯號濟谷水竹昌衍子官判書子太和致和睦大欽字湯卿號茶山逗日堂詹子官承旨子行善李志完字養吾號斗峯少陵尙毅子官吏判弟志宏官正志定官獻納李民宬字寬夫
野乘v24反逆則或有不殺而黨與皆㐲誅者仁城雖被召還之命而救護之人皆誅之可矣設若北報緊急則㐫徒安保其不逞其計乎如睦大欽者虐宲間每出賊口性善安敢有此論也人雖以臣為逆而臣則不當退㐲必待殿下以臣為逆然後退去矣臣若退去則置殿下
國朝捷錄v01相趙希逸怡叔林川人竹陰瑗子鄭廣成壽伯濟合昌衍子柳潚醉吃㒱彪子副提學主張廢母金緻士精南峯兵使時敏子副學睦大欽湯卿泗川人竹塢吏判詹子承旨李志完斗峯尙弘侄受權奸嗾論七臣卽宣廟付托光海者也昏朝謫李民宬永川人敬亭承旨
郯述v02睦大欽
文獻攷略v10時追捧五十五張趙璞睦大欽亦爲試官而璞子全素大欽姪女婿趙珩被選全素及申翊全申冕等俱以追呈得中
靑邱風雲v1陰禮參鄭廣成字壽伯號濟谷刑判父昌衍子太和柳潚字淵叔夢寅之姪副提學李志完字養吾號斗峯承旨睦大欽字陽卿承旨李厚李民宬字寬甫號敬亭李久厚弟右大學柳根選
東國續修文獻錄v1參金緻士精知足兵使時敏子安東人監司柳潚淵叔醉吃典翰夢彪子高興人副學鄭廣成壽伯濟谷左相昌衍子東萊人刑判睦大欽陽卿茶山參判詹子泗川人承旨李志完養吾斗峯二相尙毅子驪興人參判李民宬寬甫敬亭監司光浚子永川人承旨李厚子
國朝人物志v3德水人正言景顏子癸丑生員進士丙寅文科佐郞臺臣奏劾命官申欽孫冕趙璞子全素睦大欽姪壻趙珩等被選故有子壻弟侄榜之言幷削一榜穆更不赴試同上姜翯字君白晉州人生員渭興子甲
國朝人物志v3字君獻號翠屛豐壤人仁祖丙寅文科以試官睦大欽姪女壻罷榜庚午再擢明經及第入翰苑時潛冶朴知誡力主追崇議許穆罰知誡延平李貴以聞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