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세공(洪世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C138ACF5B1541X0
자(字)중안(仲安)
호(號)봉계(鳳溪)
생년1541(중종 36)
졸년1598(선조 31)
시대조선중기
본관남양(南陽[唐])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보(洪俌)
저서『봉계일고』

[상세내용]

홍세공(洪世恭)
1541년(중종 36)∼1598년(선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중안(仲安), 호는 봉계(鳳溪). 군수 홍보(洪俌)의 아들이다.

1567년(명종 22) 생원이 되고, 1573년(선조 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1588년 평안도구황경차관(平安道救荒敬差官)이 되어 영유현감(永柔縣監) 임태(任兌)를 처벌하는 등 민심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워 왕의 신임을 받았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평안도 조도사(調度使)가 되어 명군(明軍)의 군수조달의 책임을 지고 전진(戰陣)의 상황을 왕에게 수시로 보고하였다. 곧 참의로 승진되어 조도사를 겸하고, 이어 함경도도순찰사가 되어 영흥의 적정을 보고하여 군의 계책을 진언하고, 각 지방에 남은 식량과 들판에 널려 있는 곡물을 거두어들이는 데 전력하였다.

1594년 전라도관찰사전주부윤을 겸하여 곡창지대인 호남지방의 양곡을 조도(調度)하였다.

1596년 좌부승지를 거쳐 우승지참찬 등을 역임하고, 정유재란이 일어날 징후가 보이자 다시 평안도 조도사가 되어 군량조달에 힘쓰던 중 숙환이 재발되어 군중에서 죽었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다.

저서로 『봉계일고』가 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志
燃藜室記述
鳳溪逸稿

[집필자]

권오호(權五虎)
대표명홍세공(洪世恭)
세공(世恭)
성명홍세공(洪世恭)
중안(仲安)

성명 : "홍세공(洪世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3上從之卽遣人移咨遼東告急請兵○尹斗壽曰旣已請兵凡接待之策宜先講究遂以沈喜壽爲接待使先赴義州又以洪宗祿洪世恭沈友勝爲三路調度使分管粮餉○六月初五日上命廟堂議去就寅城府院君鄭澈首曰此非京城死守之比可令一大將守之
紀年便攷v16洪世恭吉旼八世孫䕃都事俌子茂績三従字仲安宣祖癸酉以承議郞登明經科官止完伯壬辰以江界府使為可用召拜承㫖尋拜調
紀年便攷v16洪世恭
見睫錄v4金別坐應會字時極居潭陽孝友出天妻子飢寒而處之有裕壬辰亂與妻弟金德齡起義會洪世恭爲巡察使欲陷公托以公置私羊於官羊中事涉凌侮構捏百端及德齡誣坐逆變公亦拿囚禁府上命先聞德齡反狀於公公極
湖南節義錄v2壬辰謂婦弟金忠壯公曰君以天挺忠武當此時尙偃處田間乎因與起義領軍至嶺南居昌縣屢請出戰朝廷以講和終不許時洪世恭爲本道方伯以公與鄭相公澈親厚欲陷之搆捏百端啓聞于朝會金公被繫公自陣中亦被拿命金相應南按獄上命先問公以
大事編年v7備邊司啓前監司宋言愼兵使李潤德以一道之主深入峽中久無形影洪世恭旣承調度之命迂入熙川天兵去來邈不相聞韓準親承從駕之命托病落後又自言親見大駕渡遼遂使人心崩潰獻納李廷臣
國朝人物志v2金時晦字養吾號養眞齋安東人司藝忠甲子壬午進士丁卯文科府使壬辰殉節同上洪世恭字仲安南陽人郡守俌子丁卯生員癸酉文科全羅監司以調度使死於國事兄世英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