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동명성왕(東明聖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4B3D9BA85C131BB058X0
이명(異名)주몽(朱蒙)
이명(異名)추모(鄒牟)
이명(異名)상해(象解)
이명(異名)추몽(鄒蒙)
이명(異名)중모(中牟)
이명(異名)중모(仲牟)
이명(異名)도모(都牟)
시호(諡號)동명(東明)
생년-58(북부여: 고무서 2/동부여: 해부루 29)
졸년-19(고구려: 동명성왕 19, 유리왕 1/신라: 혁거세거서간 39)
시대고구려
활동분야왕실 > 왕
해모수(解慕漱)
유화부인(柳花夫人)
외조부하백(河伯)

[상세내용]

동명성왕(東明聖王)
서기전 58년∼서기전 19년. 고구려의 시조왕. 재위 서기전 37년∼서기전 19년. 성은 고씨(高氏). 이름은 주몽(朱蒙) 또는 추모(鄒牟)상해(象解)추몽(鄒蒙)중모(中牟)중모(仲牟)도모(都牟)라고 기록되어 전한다.
1. 가계와 이름의 유래
『국사(國史)』 고구려본기를 인용한 『삼국유사』『삼국사기』에는 성이 고씨, 이름은 주몽이라 하였다.

특히 『삼국사기』에는 ‘추모’ 또는 ‘상해’라는 이름도 전하고 있다. 그리고 광개토왕릉비와 모두루 묘지에서는 ‘추모왕’이라 하였다.

백제에서 시조로 모신 동명에 대하여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등 일본문헌에는 ‘도모(都慕: 일본음 쓰모)’라고 하였다. 이들 일련의 한자(漢字)표기는 모두 동명을 다른 글자로 표기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한편 중국문헌인 『위략(魏略)』, 『후한서(後漢書)』 부여전, 『양서(梁書)』 고구려전에는 부여의 시조가 동명이라 되어 있고, 『위서(魏書)』『주서(周書)』『남사(南史)』『북사(北史)』『수서(隋書)』 고구려전에는 고구려의 시조가 주몽이라고 되어 있다. 아마도 동명을 시조로 모시는 전통은 부여에서 고구려백제에 이르기까지 공통된 현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원래 동명고구려 시조 주몽은 다른 인물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주몽설화도 문헌기록에서 볼 때 동명설화와 줄거리가 구조적으로 똑같다. 그 특징은 ‘단군(檀君)’의 전통과 마찬가지로 왕자(王者)의 정치적 권위의 원천을 하늘에 귀속시키면서 농업생산을 좌우하는 ‘물의 신령’의 권위를 아울러 주장하는 새로운 종교사회사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2. 사서의 주몽설화
『삼국사기』『삼국유사』에 의하면 주몽의 부친은 천제(天帝)의 아들인 해모수(解慕漱)였으며, 해모수는 동시에 북부여의 왕이었다. 이것은 그가 동부여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고구려 왕실의 법통의 근원을 북부여에 두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주몽의 어머니인 하백(河伯)의 딸 유화부인(柳花夫人)이 천제의 아들이라는 해모수와 정을 통한 뒤 집에서 쫓겨났다.

이때 동부여의 금와왕(金蛙王)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유화부인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이상히 여겨 방 속에 가두었더니 햇빛이 따라다니며 비치어 태기가 있어 큰 알을 하나 낳았다. 금와왕은 그것을 개와 돼지에게 주었으나 먹지 않았고 길에 버려도 소나 말이 피해 갔다.

또 들판에 버렸더니 새들이 모여 날개로 덮어주었으며 알을 깨뜨리려 하였지만 깨어지지 않아 드디어 유화부인에게 되돌려주었다. 이에 알을 덮어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한 사내아이가 껍데기를 깨뜨리고 나왔다. 골격과 생김새가 영특하고 기이하였다.

7살에 스스로 활과 살을 만들어 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의 말로 활을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 하므로 이름을 주몽이라 하였다.

금와왕에게는 일곱 왕자가 있었는데 큰아들 대소(帶素)가 “후환이 두려우니 제거함이 옳다.”고 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고 주몽에게 말을 기르게 하였다.

그는 날랜 말에게는 먹이를 적게 주어 여위게 하고 둔한 말에게는 먹이를 많이 주어 살찌게 하니 왕이 살찐 말을 골라 타고, 여윈 말은 주몽에게 주었다.

그러나 왕자들과 신하들이 주몽을 죽이려고 꾀하니, 유화부인이 “멀리 도망가서 큰 일을 도모하라.”고 이르니 오이(烏伊)마리(摩離)협보(陜父) 등 세 사람으로 벗삼아 엄체수(淹遞水, 또는 蓋斯水, 掩遞水, 奄利大水)에 이르렀다.

이때 주몽이 강물에 말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인데 오늘 도망하다가 뒤쫓는 군사가 닥치는데 이를 어찌하면 좋겠는가.” 하니 물고기와 자라들이 떠올라 다리를 만들었다. 주몽이 건너자 곧 흩어져 뒤쫓는 군사들은 건널 수 없었다.

한편 어머니 유화부인이 비둘기 한쌍을 보내어 보리씨를 전해주었다. 그리고 모둔곡(毛屯谷: 지금의 渾河流域)에서 재사(再思)무골(武骨)수거(獸居) 등 세 사람의 신하를 얻었다.
3. 개국과 치적
졸본(卒本: 일설에는 紇升骨城)에 이르러 도읍을 정하고 비류수(沸流水) 위에 집을 짓고 살면서 서기전 37년에 나라를 세워 고구려라 하였다. 왕위에 올라 서기전 36년(동명성왕 2)에 비류국(沸流國) 송양왕(松壤王)의 항복을 받고, 서기전 33년에는 태백산 동남쪽의 행인국(荇人國)을 쳐서 그 땅을 빼앗아 성읍(城邑)으로 삼았고, 서기전 28년에는 북옥저를 멸망시켰다.

서기전 24년에 유화부인이 죽자 동부여의 금와왕이 후히 장례를 치러주었으므로 사신을 보내어 감사의 뜻을 표하였다. 서기전 19년에 동부여에서 첫부인 예씨(禮氏)와 왕자 유리(類利: 뒤에 유리명왕)가 도망하여 오므로 태자로 삼았다. 이해 9월에 왕이 돌아가니 용산(龍山)에 장사 지내고 시호를 동명성왕이라 하였다.

한편 『삼국사기』 백제본기에서는 주몽북부여에서 졸본으로 온 뒤 왕의 사위가 되어 왕위를 이었다고 하였다.

그런데 주몽설화는, 첫째 여자를 가두었더니 햇빛이 비추어 태기가 생기고, 둘째 알을 낳고, 셋째 태어난 땅에서 달아나, 넷째 물고기들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여, 다섯째 새로운 땅에서 왕이 되었다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 첫째는 단군과 마찬가지로 주몽이 천손(天孫)임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어머니 유화부인단군의 어머니인 곰이 굴 속에 갇혔던 것처럼 방 속에 갇혔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주몽설화 또는 동명설화에는 단군의 전통에서 볼 수 없었던 넷째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그가 하백의 외손으로 물의 신령의 영험스러운 능력을 지녔다는 것으로 비를 다스리는 주술적 능력을 뜻하는 것이다. 즉 단군의 전통을 이어받았으면서도 새로운 농경사회의 특질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東國李相國集
朝鮮金石總覽 上
魏略
後漢書
梁書
魏書
周書
南史
北史
隋書
新撰姓氏錄
人物로 본 韓國古代史(千寬宇, 정음문화사, 1982)
고구려의 흥기 1(李弘稙, 국사상의 제문제, 1959)
東明王篇에 보이는 神母의 性格에 대하여(金哲埈, 柳洪烈博士華甲記念論叢, 1971)
高句麗 瑠璃王考(金龍善, 歷史學報 87, 1980)
東明型說話와 古代社會(鄭璟喜, 歷史學報 98, 1983)

[집필자]

정경희(鄭璟喜)

왕명 : "동명왕(東明王)"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名類利東明王太子漢成帝鴻嘉二年壬寅立在位三十七年號明王母禮氏妃松妃多勿侯松讓女墓在豆谷東原○王子鮮卑降○癸亥移都
歷代總要v03立㕵號初以十臣爲輔號十濟後以百姓樂從號百濟始都慰禮城今稷山丙辰移都南漢山今廣州治在位四十六年○癸卯立東明王廟○己未立㕵母廟○壬戌設壇禮天地每歲以爲常○己巳滅馬韓○廣州有溫王廟
東國歷代總目v01稱三朝鮮漢武帝時爲樂浪郡高句麗東川王來都至寶藏王爲新羅所幷高麗時稱爲西京○成川古沸流王松讓所都高句麗東明王來都卒本川卒本川在府西○寧邊古荇人國爲高句麗所幷○龍崗古黃龍國爲高句麗所幷○妙香山一名太伯山乃檀君初
東國歷代總目v01所逐率其左右官人浮海而南至金馬郡建國稱韓王統五十餘國大國萬餘家小國數千家自准歷累世至漢成帝癸卯高句麗東明王子溫祚南來求可居地遂割東北百里以畀之至新莽己巳爲溫祚所滅金馬郡今益山
東國歷代總目v01有氣自天而下大如鷄子入其口十月孕一男名曰東明善射王恐爲國害欲殺之東明走考弓射水魚鱉浮出而爲梁以渡東明東明王名朱蒙本姓解自稱高辛之後以高爲姓一云朱蒙自謂以天帝子乘日光而生故改姓爲高二說不同故兩存之初東扶餘王解
東國歷代總目v01癸卯元年漢成帝鴻嘉元年立東明王廟○庚戌靺鞨圍慰城王擊走之○丙辰徙都漢山今廣州築南平壤城今京都之北漢山城○己巳是歲王莽簒漢伐馬韓滅之
歷代帝王紀年v01搜柱下得斷釼一段與屋智等三人行至卒本國見王以釼進王出所藏斷釼合之果驗乃悅立以爲嗣是歲高句麗王朱蒙薨號東明王太子類利立
歷代帝王紀年v01○高句麗國始於漢建昭二年終於唐総章元年○始祖東明王本姓解改姓高名朱蒙初檀君子扶餘王解扶屢無子見石中生小兒或云鯤淵金色蛙形收養之後爲卒本扶餘王壻移都東海
國朝捷錄v01檀君王儉見東國史朝鮮本紀東史寶鑑等書東明王朱蒙述郞新羅人見輿地誌下同南郞永郞安詳玉寶高景德王時人金謙孝蘇嘏大世眞平王時人仇㓒大世同時人旵始曺魏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