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종보(朴宗輔)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885BCF4B1760X0
자(字)여신(汝臣)
시호(諡號)충익(忠翼)
생년1760(영조 36)
졸년1808(순조 8)
시대조선후기
본관반남(潘南)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준원(朴準源)
외조부원경유(元景游)

[상세내용]

박종보(朴宗輔)
1760년(영조 36)∼1808년(순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여신(汝臣). 판돈녕부사 박준원(朴準源)의 아들이며, 모친은 증이조참판 원경유(元景游)의 딸이다.

1787년(정조 11) 누이가 유빈(綏嬪)이 되자 음보(蔭補)로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에 등용되고 사옹원주부(司饔院主簿), 의빈부(儀賓府)충훈부(忠勳府)도사(都事)를 역임하였다. 1789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누이가 정조의 아들 즉, 순조를 낳자 임금의 명에 따라 궁중에서 보육의 책임을 맡았다. 1800년 정조가 죽고 정순왕후(貞純王后)가 수렴청정을 할 때, 왕의 몸을 보호하는 근척(近戚)이 측근에 있어야 한다고 하여 임금의 외숙으로서 동부승지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공조참의가 되고, 임금이 천연두를 앓을 때 입직한 공로로 호조참판에 임명되었다. 1803년 형조참판을 거쳐 성천부사(成川府使)춘천부사(春川府使) 등을 역임하고, 1806년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사도시제조(司䆃寺提調)가 되었다.

이때 대신들의 천거를 받아 호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음관(蔭官)이 단천(單薦)으로 호조판서가 된 것은 유례가 없다.”고 세 차례나 상소하여 사양하였다. 비변사당상으로 경질되었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았다. 정조로부터 “비록 음관으로 벼슬에 올랐지만 풍도(風度)는 문신과 같으니 후일 마땅히 재상이 될 것이다.”라는 평을 받았다.

여러 번 과거에 떨어졌으나 태연하였고 초년에 빈한하게 살았기 때문에, 높은 관직에 올라 녹봉이 많아지자 즐겨 남을 도와주었으며, 서예에도 재능이 있었다. 뒤에 영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참고문헌]

純祖實錄
雲石遺稿
潘南朴氏世譜

[집필자]

원유한(元裕漢)
대표명박종보(朴宗輔)
종보(宗輔)
성명박종보(朴宗輔)
시호충익공(忠翼公)

성명 : "박종보(朴宗輔)"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祭謄錄n1-6책希鎭刑佐徐貞輔漢主兪漢輔齋郞 五 氷別洪留浩饔主 朴宗輔衣直崔陽羽繕主林泰遠用直趙鎭大捧俎官 十五 興主李
祭謄錄n1-6책明饔奉趙光 存繕主林泰遠漢主兪漢輔繕副奉閔致和饔主朴宗輔用直趙 鎭大饔奉柳範休導主李學永宰奉申宅權用奉閔是
祭謄錄n1-6책宅權饔奉申在維用主洪最榮氷檢朴彜源宰奉黃基厚饔 主朴宗輔苑別朴喆源繕奉尹五榮掌牲令牲主尹之衡協律郞樂僉鄭
祭謄錄n1-6책漢純活別尹載伋資判鄭文在戶佐洪樂敎漢主兪漢輔 饔主朴宗輔衣主趙鎭大僕主金在明用主洪最榮宗直申 宅權用奉兪靖
祭謄錄n1-6책鄭斗榮第五室捧俎官 三 典簿李集星中都金永耼 饔主朴宗輔第六室捧俎官 三 饔僉朴宗幹刑正黃仁煦 氷別洪留源
祭謄錄n1-6책同祭獻官司直李鼎運典祀官兼大祝副果朴孝成贊者 饔主朴宗輔謁者長奉洪樂正明陵寒食同祭獻官司直李得臣典祀官兼大
祭謄錄n1-6책 事朴右源大祝司果朴宗來祝史軍資主李復顯齋郞 賓都朴宗輔贊者假引金思卨謁者引儀尹博基祭監監察申昔永祐園同祭
祭謄錄n1-6책祝 二 奉正金 朝僕正李永穆祝史用判黃延祚齋郞儀都朴宗輔贊者■■ 假引秦潚謁者引儀陳義行祭監監察白泳鎭景慕
祭謄錄n1-6책大祝 二 副果朴宗來張至冕祝史 典簿黃運祚齋郞儀都朴宗輔贊者兼引李孝達謁者兼引李師 益祭監監察尹孝寬景慕宮
祭謄錄n1-6책 今(壬戌)五月二十一日行 顯隆園忌辰祭獻官戶參朴宗輔典祀官兼大祝水判林秉遠
嘉禮都監儀軌n1-2책賞 同日 傳曰 尙衣提調領敦寧金祖淳‧戶曹參判朴宗輔 各半熟馬一 匹賜給 郞廳僉正金龍柱‧主簿金魯喆‧
尊崇都監儀軌n1-1책金羲淳禮曹參判臣吳 載紹刑曹參判臣徐美修戶曹參判臣朴宗輔行護軍臣尹 長烈臣李魯春臣朴基豊臣崔景岳臣許晊臣李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