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송무원(宋婺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A1BB34C6D0U9999X0
자(字)경휘(景徽)
호(號)염수와(念修窩)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은진(恩津)
활동분야문신 > 문신
송회석(宋晦錫)
증조부우암(尤庵)
증조부송시열(宋時烈)

[상세내용]

송무원(宋婺源)
생졸년 미상.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경휘(景徽), 호는 염수와(念修窩).

증조부는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고, 부친은 동계(東溪) 송회석(宋晦錫)이다. 성품(性稟)이 강직하고 가법(家法)이 독후하며, 세속의 구차(苟且)한 일을 미워하고 의리시비(義理是非)에는 직언을 하고 성기(聲氣)가 준려(峻厲)하였다. 관직은 숙종(肅宗) 말년에 서사(筮仕)하여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역임하였다. 손자 유학(幼學) 송환억(宋煥億)이 특출하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의하면, 1706년(숙종 32) 3월에 4학유생(四學儒生)인 송무원(宋婺源) 등의 상소에 “영의정 최석정(崔錫鼎)인조(仁祖) 때에 화친(和親)을 주장한 사람인 최명길(崔鳴吉)의 손자로 수치를 잊고 나라를 욕되게 한 죄가 있으니 우리 임금을 대신하여 황단(皇壇)의 제사를 행하게 할 수 없습니다.”라고 아뢰었는데 승정원(承政院)에서 “대신(大臣)을 쳐 흔들고 조정을 괴란(壞亂)시켰다.”는 명목을 대어 임금이 변지(邊地)인 강진(康津)으로 정배(定配)하였다가 그 해 12월 우의정 이이명(李頤命) 등의 주청으로 석방되었다.

[참고문헌]

朝鮮人名辭書
國朝文科榜目
陶谷集
朝鮮王朝實錄

[집필자]

김동섭
수정일수정내역
2008-12-31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