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난상(金鸞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B09CC0C1B1507X0
자(字)계응(季應)
호(號)병산(缾山)
생년1507(중종 2)
졸년1570(선조 3)
시대조선전기
본관청도(淸道)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현(金俔)
조부김영우(金靈雨)
저서『병산유집』

[상세내용]

김난상(金鸞祥)
1507년(중종 2)∼1570년(선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 자는 계응(季應), 호는 병산(缾山). 좌참찬 김점(金漸)의 현손이며, 조부는 김영우(金靈雨), 부친은 김현(金俔)이다.

1528년 이황(李滉)과 함께 사마시에 합격하고, 1537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검열을 지냈다.

1545년(인종 1) 8월에 윤원형(尹元衡)이 왕의 명이라 하여 양사(兩司)를 협박, 윤임(尹任)유관(柳灌)유인숙(柳仁淑) 등을 탄핵하려 하자 대사간 김광준(金光準)대사헌 민제인(閔齊仁)윤임 등을 대역으로 논하려 하여 집의 송희규(宋希奎), 지평 민기문(閔起文), 사간 박광우(朴光佑) 등과 함께 이를 반대하다가 모두 파직되었다.

1547년(명종 2)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이기(李芑)윤원형 등의 청에 의하여 남해로 유배되었고, 1565년에 감형되어 단양으로 이배(移配)되었다. 선조초에 이준경(李浚慶)의 청으로 풀려나와 기대승(奇大升)의 주장으로 학행이 출중한 선비로 추천되어 집의응교직제학 등을 지내고 대사성에 이르렀으나, 1569년 사류망담(士類妄談)의 잘못을 논하다가 파직되었다. 영천 오산사(梧山祠)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병산유집』이 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榜目
嶺南人物考

[집필자]

유병용(兪炳勇)

자 : "계응(季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3金鸞祥清道人俔子中宗甲子生字季應號梅陽又雲溪又瓶山中宗辛卯生貟丁酉登明經科歴三司學行醇備明宗即位乙巳中學之會以正言立異坐罷丁未壁書禍
小華龜鑑v5金鸞祥字季應俔之子官大司諫乙巳以正言罷丁未安置南海丁卯以學問可備經筵三公啓叙官○盧蘇齋輓詩曰珍島通南海丹陽近始安
寒臯觀外史v18蘇齋光州人官領相謚文簡○鸞祥字季應号梅陽清道人官吏議
寒臯觀外史v68鸞祥字季應號■陽清道人官吏議希春字仁仲號稙廢善山人官副學謚文節
寒臯觀外史v68金鸞祥字季應戊子司馬丁酉科孝友兄弟不分異乙巳為正言不従齊仁光凖之議㘴罷丁未安置南海文㝎上昇量移中道今上初李浚慶䓁
寒臯觀外史v68金鸞祥字季應戊子司馬丁酉科孝友兄弟不分異
喬桐郡邑誌(京畿道),光武三年十二月v1季應號甁山丁卯生嘉靖戊子司馬丁酉文壯元乙巳謫南海移配丹陽丁卯放敍用爲吏曹參議東皐李浚慶請放疏曰鸞祥學純備
喬桐郡邑誌(京畿道),光武三年十二月v1季應撰次其伯氏故英陵參奉君之行蹟徵碣文於滉者有年矣滉老而久故未卽應季應懇請愈不怠滉固嘗知君之爲人矣於季應之爲其伯說之辭謹按君諱鳳祥字伯應淸道縣人高麗平章事英憲公諱之垈其遠祖也其後有麾山君漢貴以下四世皆顯仕
喬桐郡邑誌(京畿道),光武三年十二月v1金君鳳祥墓碣銘幷序吾友吏曹參議金君季應撰次其伯氏故英陵參奉君之行蹟徵碣文於滉者有年矣滉老而久故未卽應季應懇請愈不怠滉固嘗知君之爲人矣於季應之爲其伯說之辭謹按君諱鳳祥字伯應淸道縣人高麗平章事英憲公諱之垈其遠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