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여우길(呂祐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ECC6B0AE38B1567X0
자(字)상부(尙夫)
호(號)치계(癡溪)
생년1567(명종 22)
졸년1632(인조 10)
시대조선중기
본관함양(咸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상세내용]

여우길(呂祐吉)
1567년(명종 22)∼1632년(인조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상부(尙夫), 호는 치계(稚溪, 痴溪).

1591년(선조 24)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1596년 사신의 일행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병조정랑평안도도사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장령성균관직강 등을 역임하였다. 성품이 너그럽고 모질지 않아 화요(華要)의 직에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었다.

1603년 밀양부사를 거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는데, 임진왜란이 끝난 다음 전쟁을 마무리짓는 사신으로서 일본에 내왕하면서 포로의 쇄환 등에 공이 많았다.

연안부사가 되어서는 고을을 잘 다스려 여러 수령들 가운데 모범으로 뽑혔다. 후일 평안도안무사(平安道安撫使)를 지냈고, 1614년(광해군 6)에는 또다시 진위사(陳慰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1618년 공홍도관찰사(公洪道觀察使)를 역임하였다.

탁월한 외교가로서 전란 이후의 처리를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방관으로서도 선정을 베풀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宣祖修正實錄
光海君日記
亂中雜錄
西厓集
國朝榜目

[집필자]

차용걸(車勇杰)

성명 : "여우길(呂祐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倭關白源家康盡滅平氏屢遣使求和遣呂祐吉慶暹丁好寬報聘自是復通和好
國朝編年v16丁未四十年大明萬曆三十五年春正月日本又請使甚懇遣通信使僉知呂祐吉校理慶暹爲副使佐郞丁好寬差書狀官後以通信爲嫌改稱回答使書狀改稱從事官○對馬島土薄民窮專以貢船賞賜轉販
紀年便攷v18呂祐吉
紀年便攷v18呂祐吉咸陽人稱八世孫蔭僉樞順元子字>尚夫號痴溪宣祖庚寅進士辛卯登别試官止通政監司丁未以通信使赴日本與慶暹丁
東國歷代總目v02策扈聖功臣錄李恒福等八十六人以壬辰執靮功也○策宣武功臣錄李舜臣等十八人以討倭功也○丙午日本遣使求和遣呂祐吉等報之○戊申上昇遐諡曰昭敬葬穆陵初葬健元陵西崗仁祖大王八年庚午移窆于健元陵第二崗與王妃同陵世子卽位○
震乘總v7國歸安東舊庄家食十載而卒朝野惜之然素性謙退言語溫恭未嘗失色於人故少骨少骨鯁風鯁風責備君子不能無恨焉○呂祐吉等回自日本李德馨送祐漢陰送祐吉詩吉詩曰臣子未湔陵寢辱簡書先入犬羊天旣到倭人以金盤盛糞以金灑之奉以進之
震乘總v7丁未四十年春正月遣通信使呂祐吉慶暹丁好寬等使日本壬辰遣通信使兵釁實起於對馬守義智義智行長之婿兩人身任其事行長對馬島土薄民窮以我賜米
宣廟中興誌v6丁未正月以呂祐吉慶暹爲回答使使日本八月呂祐吉慶暹回還橘智正在釜山待通信以僉知呂祐吉爲上使校理慶暹爲副使佐郞丁好寬爲書
靑野만集v6栲死丙午倭復來請和時源家康廢秀吉之子自立爲關伯傳位於其子秀忠永慶以爲家康廢平氏於我國非讎可許和建白遣呂祐吉等秀忠答書示黽勉許和之意祐吉等恐懼不敢辨而來援舊例陞嘉善物議譁然而恐永慶不敢言掌令崔有源上疏奪祐吉等
寒臯觀外史v24丁未春囬荅使呂祐吉䓁向日本滿朝贈詩以别尹安性詩曰使名囬荅向何之今日交隣我不知君去漢江江上望二陵松柏不生枝李德馨詩曰臣子
寒臯觀外史v24上怒責之斬其倭於祐吉字尙夫號□溪咸陽人官海伯暹字退夫號石村清州人官副季好寛字希栗押海人官府使市遂遣呂祐吉慶暹丁好寛䓁報之和遂成右荷潭破寂□
錦營公案兼巡察使 呂祐吉 戊午六月嘉善來同年十二月以親病辭歸 官止監司
大事編年v8丁未四十年正月僉知呂祐吉校理慶暹佐郞丁好寬差通信三使送日本以通信爲謙改號回答使書狀改稱從事官擧朝爲詩以餞同知尹安性詩曰使名回
國朝人物志v2在伏見城錄其輿地官號及賊強弱之勢密達于朝上大加嘉歎又上賊中見聞一冊上賜醞命給馬歸覲丙午呂祐吉奉使入日本日本人輒問姜郞中今做何官因盛稱其忠義之節不愧古人云石洲權鞸有詩曰鍾儀雖在
國朝人物志v2虜入日本服役甚苦倭人以商販爲業以完璧曉解文字挈而登舟三往安南其所見奇怪之事甚多丁未回答使呂祐吉入日本始得還國母及妻俱無上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