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민기문(閔起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BFCAE30BB38B1511X0
자(字)숙도(叔道)
호(號)역암(櫟菴)
생년1511(중종 6)
졸년1574(선조 7)
시대조선전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민원(閔源)

[상세내용]

민기문(閔起文)
1511년(중종 6)∼1574년(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숙도(叔道), 호는 역암(櫟菴). 우부승지를 지낸 민원(閔源)의 아들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잃고 편모슬하에서 어머니의 가르침으로 독서에 힘써 약관으로 사마시에 급제하면서 문명을 크게 떨쳤다.

1535년(중종 30) 진우(陳宇)유경인(柳敬仁) 등과 당시의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다.

그뒤 병조정랑을 거쳐 1547년(명종 2) 훈련원도사에 이르렀는데, 이때 이기(李芑)윤원형(尹元衡) 등에 거슬려 봉성군(鳳城君)의 옥사에 연루됨으로써 오랫동안 외방에 부처되었다. 윤원형이 물러난 1565년에야 직첩이 환급되어, 이듬해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에 제수되었다.

그뒤 선조가 즉위하자 홍문관전한직제학을 거쳐 승정원으로 옮겨 우부승지좌부승지우승지를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집필자]

최완기(崔完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