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양필(金良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591D544U9999X0
자(字)몽득(夢得)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전기
본관제주(濟州)
활동분야학자 > 유생
김수려(金秀麗)
출신지제주(濟州)

[상세내용]

김양필(金良弼)
생졸년 미상. 조선 전기 유학자. 자는 몽득(夢得), 본관은 제주(濟州)이며, 출신지도 제주(濟州)이다. 부친은 전 행용양위부사과(前行龍驤衛副司果) 김수려(金秀麗)이다.

1510년(중종 5) 경오(庚午) 식년시 생원 3등 19위로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관직이 교수(敎授)에 이르렀고 교육 발전에 공로가 많았다.

1520년(중종 15) 제주에 유배 온 충암(沖巖) 김정(金淨)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1534년(중종 29) 제주목사(濟州牧使) 심연원(沈連源)이 향학당(鄕學堂)을 세우고 명륜당(明倫堂)을 보수할 때, 그가 계획을 지도하여 완성했다.제주의 유학자로 문장과 서예에 능하여, 세인들로부터 “문학이 뛰어나고 지덕을 겸비하였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명필로 널리 알려졌는데, 명륜당 현판(懸板)의 시(詩)와 ‘백록동규(白鹿洞規: 주자가 정한 백록동 서원의 규범)’의 글씨가 유명하다.

[참고문헌]

증보탐라지
제주풍토록
제주사인명사전
탐라성주유사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국사편찬위원회(http://db.history.go.kr/)

[집필자]

전종헌
수정일수정내역
2009-09-30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