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보(徐英輔)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1CC601BCF4D1821X0 |
생년 | 1757(영조 33) |
졸년 | 1821(순조 21)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대구(大丘)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관련정보]
[상세내용]
서영보(徐英輔)
1757년(영조 33)∼1821년(순조 21). 자는 자는 여방(汝芳). 본관은 대구(大丘).
부친은 훈련대장 서유대(徐有大)이고, 생부는 서유상(徐有常)이다. 외조부는 사간원헌납 청주한씨(淸州韓氏) 한봉조(韓鳳朝)이고, 처부는 함안윤씨(咸安尹氏) 윤중연(尹重淵)이다.
1782년(정조 6) 무과에 급제하고, 1786년(정조 10)에 중시(重試)에 급제했다.
성품이 강직하였으므로 폐단을 잘 지적하여 개선하는 일이 많았다. 또 1797(정조 21)에 황해도수군절도사로 있을 때 해주에 소속된 방들이 당시 주민들이 모든 정소(呈訴)나 부역 및 각항의 부세를 본목(本牧)에 수송하는데 있어 그 폐단이 많기 때문에 백성들이 “가까운 수영에 소속되기를 바라고 있다” 라고 청하였으나 우의정 이병모(李秉模)가 반대하여 철회되기도 하였다. 후에 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처 훈련대장(訓鍊大將)까지 올랐다.
부친은 훈련대장 서유대(徐有大)이고, 생부는 서유상(徐有常)이다. 외조부는 사간원헌납 청주한씨(淸州韓氏) 한봉조(韓鳳朝)이고, 처부는 함안윤씨(咸安尹氏) 윤중연(尹重淵)이다.
1782년(정조 6) 무과에 급제하고, 1786년(정조 10)에 중시(重試)에 급제했다.
성품이 강직하였으므로 폐단을 잘 지적하여 개선하는 일이 많았다. 또 1797(정조 21)에 황해도수군절도사로 있을 때 해주에 소속된 방들이 당시 주민들이 모든 정소(呈訴)나 부역 및 각항의 부세를 본목(本牧)에 수송하는데 있어 그 폐단이 많기 때문에 백성들이 “가까운 수영에 소속되기를 바라고 있다” 라고 청하였으나 우의정 이병모(李秉模)가 반대하여 철회되기도 하였다. 후에 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처 훈련대장(訓鍊大將)까지 올랐다.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정조 순조
日省錄
日省錄
[집필자]
권이태
대표명 | 서영보(徐英輔) |
성명 | 서영보(徐英輔) |
성명 : "서영보(徐英輔)"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8-12-31 | 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2011-01-04 | 大丘徐氏世譜(2003년 간행)를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하고 본관을 미상에서 대구(大丘)로 수정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