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송만재(宋晩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A1B9CCC7ACB1788X0
호(號)취송(翠松)
생년1788(정조 12)
졸년1851(철종 2)
시대조선후기
본관여산(礪山)
활동분야음악 > 기타
출신지서울

[상세내용]

송만재(宋晩載)
1788년(정조 12)∼1851년(철종 2). 판소리연구가. 본관은 여산(礪山). 호는 취송(翠松). 서울 출신.

조선 후기 판소리연구에 중요한 자료인 「관우희오십수(觀優戱五十首)」의 저자로, 그의 가문은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낸 명문으로서 그의 종형 송면재(宋冕載)예조판서호조판서를 지낼 정도였다.

그러나 그는 과업(科業)에는 전혀 뜻을 두지 않고 부모 봉양에만 힘쓰다가 그의 어머니가 죽은 6년 뒤에야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그뒤 1848년(헌종 14)에 원릉참봉이 되고 금부도사를 거쳐 순릉직장(順陵直長)에 이르렀다.

그에게는 아들 둘이 있었는데, 큰아들 송지정(宋持鼎)이 1843년 진사시에 합격하였을 때 아들을 위하여 창우(倡優)들이 벌이는 판소리‧줄타기‧땅재주 등의 놀이를 주제로 한 「관우희오십수」를 지어주었다.

「관우희오십수」의 서문에 의하면 과거에 합격한 아들에게 삼일유가(三日游街)후 벌이는 잔치에 창우들을 불러들일 돈이 없어 대신 글을 지었다고 하였는데, 각 놀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어 판소리연구 및 창우들의 연희에 대한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연희시연구(윤광봉, 이우출판사, 1987)
宋晩載의 觀優戱(李惠求, 중앙대학교 논문집 1, 1957)
觀優戱(宋晩載, 인문과학 2, 연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68)

[집필자]

장사훈(張師勛)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