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벽(崔璧)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CD5CBCBDFFFFB1762X0 |
자(字) | 중온(仲蘊) |
호(號) | 질암(質庵) |
생년 | 1762(영조 38) |
졸년 | 1813(순조 13)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경주(慶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최종섭(崔宗燮) |
조부 | 최경담(崔慶聃) |
증조부 | 최하기(崔夏基) |
처부 | 이도지(李壔之) |
외조부 | 신도하(申道河) |
출신지 | 경상북도 경주(慶州) |
묘소 | 안성산(安聖山) |

[관련정보]
[상세내용]
최벽(崔璧)
1762년(영조 38)∼1813년(순조 13).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중온(仲蘊)이고, 호는 질암(質庵)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출신지는 경상북도 경주(慶州)이다.
증조부는 최하기(崔夏基), 조부는 최경담(崔慶聃), 부친은 최종섭(崔宗燮)이다. 외조부는 아주신씨(鵝洲申氏) 신도하(申道河)이며, 처부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도지(李壔之)이다.
최벽은 5세 때에 『동몽선습(童蒙先習)』을 부친에게서 배웠다. 9세 때에 십구사(十九史)를 배우기 시작하였으며 10세 때는 숙부 상지헌공(尙志軒公)에게 사서(四書)를 배웠다.
1783년(정조 7)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장원(壯元)으로 급제한 그는 바로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에 제수(除授)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그의 아버지 최종섭이 숙환으로 앓아누워 관대도 풀지 못한 채 병간호를 해야 했다. 그는 1784년(정조 8) 예조좌랑(禮曹佐郞)에 제수(除授)되었으며, 1790년(정조 14) 규장각(奎章閣)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시강(侍講)과 응제(應製)를 지냈다. 그는 또 1795년(정조 19)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1796년(정조 20)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제수(除授)되었으나 부친의 병을 이유로 사직하였다. 1799년(정조 23)에는 모친상을 당하였고, 1808년(순조 8) 부친상을 당하였다. 이후 그에게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이 제수(除授)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812년(순조 12) 왕세자 책례 때에도 상경하여 하례만 드리고 바로 낙향하였다.
묘소는 안성산(安聖山)에 있다.
증조부는 최하기(崔夏基), 조부는 최경담(崔慶聃), 부친은 최종섭(崔宗燮)이다. 외조부는 아주신씨(鵝洲申氏) 신도하(申道河)이며, 처부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도지(李壔之)이다.
최벽은 5세 때에 『동몽선습(童蒙先習)』을 부친에게서 배웠다. 9세 때에 십구사(十九史)를 배우기 시작하였으며 10세 때는 숙부 상지헌공(尙志軒公)에게 사서(四書)를 배웠다.
1783년(정조 7)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장원(壯元)으로 급제한 그는 바로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에 제수(除授)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그의 아버지 최종섭이 숙환으로 앓아누워 관대도 풀지 못한 채 병간호를 해야 했다. 그는 1784년(정조 8) 예조좌랑(禮曹佐郞)에 제수(除授)되었으며, 1790년(정조 14) 규장각(奎章閣)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시강(侍講)과 응제(應製)를 지냈다. 그는 또 1795년(정조 19)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1796년(정조 20)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제수(除授)되었으나 부친의 병을 이유로 사직하였다. 1799년(정조 23)에는 모친상을 당하였고, 1808년(순조 8) 부친상을 당하였다. 이후 그에게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이 제수(除授)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812년(순조 12) 왕세자 책례 때에도 상경하여 하례만 드리고 바로 낙향하였다.
묘소는 안성산(安聖山)에 있다.
[참고문헌]
質庵先生文集
국가지식포털(http://www.knowledge.go.kr/main.jsp)
국가지식포털(http://www.knowledge.go.kr/main.jsp)
[집필자]
박경이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9-09-30 | 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