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제(李弘濟)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D64DC81CB1722X0 |
자(字) | 원보(元輔) |
호(號) | 백봉(栢峰) |
생년 | 1722(경종 2) |
졸년 | 1784(정조 8)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전의(全義)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이우정(李宇鼎) |
모 | 진주정씨(晉州鄭氏) |
외조부 | 정진교(鄭鎭矯) |
저서 | 『백봉집』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홍제(李弘濟)
1722년(경종 2)∼1784년(정조 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원보(元輔), 호는 백봉(栢峰).
부친은 이우정(李宇鼎)이며, 모친은 진주정씨(晉州鄭氏)로 정진교(鄭鎭矯)의 딸이다.
1753년(영조 29)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문과에 급제하여 가주서에 예부(例付)되었다.
1757년 목릉별검(穆陵別檢)을 시작으로, 1758년부터 이후 3년간 성균관전적‧예조정랑‧병조좌랑‧춘추관기주관‧종묘서영(宗廟署令)‧흥덕현감 등을 지냈다.
1767년 통례원통례, 1769년 강동현감을 지낸 뒤 장령의 명을 받아 사전(祀典)을 바로잡을 것을 청하여 왕이 이를 가납(嘉納)하였다.
1772년 사간원정언이 되어 여러 차례 시정의 폐단을 논하여 영조의 신임을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해 7월 장령이 되어 여러 대관들과 합계(合啓)하였다가 엄한 견책을 입어 흑산도로 유배되고 서민으로 강등되었다.
3년 뒤인 1774년 방환(放還)되어 다시 장령으로 서용(敍用)되었다가 홍봉한(洪鳳漢)‧조영약(趙榮約)을 탄핵하는 소를 올린 일로 다시 해남으로 유배되었다.
9년 뒤인 1784년 적소에서 방환되었으나, 그해 11월에 죽었다.
영조 말년에서 정조 초년의 혼미를 거듭한 시벽파(時僻派)정쟁으로 희생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당색은 남인계였던 것 같고 아울러 시파 쪽에 서서 노론벽파를 비판하였던 것 같다.
저서로는 『백봉집』 2책이 있다.
부친은 이우정(李宇鼎)이며, 모친은 진주정씨(晉州鄭氏)로 정진교(鄭鎭矯)의 딸이다.
1753년(영조 29)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문과에 급제하여 가주서에 예부(例付)되었다.
1757년 목릉별검(穆陵別檢)을 시작으로, 1758년부터 이후 3년간 성균관전적‧예조정랑‧병조좌랑‧춘추관기주관‧종묘서영(宗廟署令)‧흥덕현감 등을 지냈다.
1767년 통례원통례, 1769년 강동현감을 지낸 뒤 장령의 명을 받아 사전(祀典)을 바로잡을 것을 청하여 왕이 이를 가납(嘉納)하였다.
1772년 사간원정언이 되어 여러 차례 시정의 폐단을 논하여 영조의 신임을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해 7월 장령이 되어 여러 대관들과 합계(合啓)하였다가 엄한 견책을 입어 흑산도로 유배되고 서민으로 강등되었다.
3년 뒤인 1774년 방환(放還)되어 다시 장령으로 서용(敍用)되었다가 홍봉한(洪鳳漢)‧조영약(趙榮約)을 탄핵하는 소를 올린 일로 다시 해남으로 유배되었다.
9년 뒤인 1784년 적소에서 방환되었으나, 그해 11월에 죽었다.
영조 말년에서 정조 초년의 혼미를 거듭한 시벽파(時僻派)정쟁으로 희생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당색은 남인계였던 것 같고 아울러 시파 쪽에 서서 노론벽파를 비판하였던 것 같다.
저서로는 『백봉집』 2책이 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栢峰集
韓國黨爭史(成樂熏, 韓國文化史大系 Ⅱ,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65)
正祖實錄
栢峰集
韓國黨爭史(成樂熏, 韓國文化史大系 Ⅱ,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65)
[집필자]
이종호(李鍾虎)
대표명 | 이홍제(李弘濟) |
성명 | 이홍제(李弘濟) |
성명 : "이홍제(李弘濟)"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