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덕하(梁德厦)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591B355D558B1714X0 |
자(字) | 대비(大庇) |
생년 | 1714(숙종 40) |
졸년 | 1775(영조 51)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제주(濟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양임노(梁壬老) |
조부 | 양수영(梁秀瀛) |
증조부 | 양잠(梁岑) |
처부 | 변시익(邊是翼) |
출생지 | 제주도 한림읍 명월리 |

[상세내용]
양덕하(梁德厦)
1714년(숙종 40)∼1775년(영조 51).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대비(大庇)이고 제주도 한림읍 명월리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양잠(梁岑)이고, 조부는 양수영(梁秀瀛)이며, 부는 양임노(梁壬老)이며, 처부는 변시익(邊是翼)이다.
1738년(영조 14)에 전시(展示)에 직부(直赴)되어, 26세 되던 1739년(영조 15) 기미(己未) 정시(庭試) 병과(丙科)에 14위로 합격하였다.
1742년(영조 18) 1월에 학유(學諭)가 되었고 같은 해 4월에 학록(學錄)이 되었다.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거쳐 전라남도 장성(長城)의 청암찰방(靑巖察訪)을 역임하였고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에 이르렀다.
향공진사(鄕貢進士)였던 양부 양수영이 사망하자 왕명으로 향공진사에 정표(旌表)되었다.
증조부는 양잠(梁岑)이고, 조부는 양수영(梁秀瀛)이며, 부는 양임노(梁壬老)이며, 처부는 변시익(邊是翼)이다.
1738년(영조 14)에 전시(展示)에 직부(直赴)되어, 26세 되던 1739년(영조 15) 기미(己未) 정시(庭試) 병과(丙科)에 14위로 합격하였다.
1742년(영조 18) 1월에 학유(學諭)가 되었고 같은 해 4월에 학록(學錄)이 되었다.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거쳐 전라남도 장성(長城)의 청암찰방(靑巖察訪)을 역임하였고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에 이르렀다.
향공진사(鄕貢進士)였던 양부 양수영이 사망하자 왕명으로 향공진사에 정표(旌表)되었다.
[참고문헌]
國朝榜目
承政院日記
朝鮮王朝實錄
증보탐라지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jsp)
承政院日記
朝鮮王朝實錄
증보탐라지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index.jsp)
[집필자]
박연희
대표명 | 양덕하(梁德厦) |
성명 | 양덕하(梁德厦) |
성명 : "양덕하(梁德厦)"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9-09-30 | 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