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계덕해(桂德海)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C4B355D574B1708X0
자(字)원섭(元涉)
호(號)봉곡(鳳谷)
생년1708(숙종 34)
졸년1775(영조 51)
시대조선후기
본관수안(遂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계난서(桂鸞瑞)
밀양박씨(密陽朴氏)
외조부박태소(朴泰素)
출신지평안북도 선천
저서『봉곡계찰방유집(鳳谷桂察訪遺集)』

[상세내용]

계덕해(桂德海)
1708년(숙종 34)∼1775년(영조 5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수안(遂安). 자는 원섭(元涉), 호는 봉곡(鳳谷). 평안북도 선천 출신. 부친은 계난서(桂鸞瑞)이며, 모친은 밀양박씨(密陽朴氏)박태소(朴泰素)의 딸이다.

1733년 사마시에 합격한 뒤, 1743년 학행으로 추천되어 예빈시참봉이 되었다가 내자시봉사로 전임되었다.

1774년 평안도 도과(道科)에 장원하여 성균관전적예조좌랑유곡승(幽谷丞)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경학에 조예가 깊어 사서육경 등에 대하여 잡저를 남겼을 뿐만 아니라, 산과 바다에 사는 이물(異物), 날짐승의 종류를 서술한 상고의 지리서인 『산해경(山海經)』의 본의(本意)도 저술하였다.

특히, 역학에 심혈을 쏟아 창문이나 벽에 빈틈없이 역설(易說)을 써놓고 연구하였으며, 「독역요결(讀易要訣)」‧「고금역(古今易)」‧「삼십육궁도(三十六宮圖)」‧「시수(蓍數)」‧「팔괘도상(八卦圖象)」 등 많은 잡저를 남겼다. 그밖에 『봉곡계찰방유집(鳳谷桂察訪遺集)』 12권 3책이 있다.

[참고문헌]

鳳谷桂察訪遺集

[집필자]

이해권(李海權)
대표명계덕해(桂德海)
덕해(德海)
성명계덕해(桂德海)
원섭(元燮)

명 : "덕해(德海)"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事變日記v17罪人桂德海年白等應爀白德海白前年五六月間汝入來故吾問有可觀書冊則汝曰有皇明通記農家全書忠武公家乘云故使之入送則送通記故吾之之文
事變日記v17遠故今番事不勝痛迫又見燒火關文招德海以爲如有此等冊子盡爲燒火可也皇明通記矣身文理不足故不能見唐板冊矣德海曰宣川則無憐賊冊子矣皇明通記初無此等語矣此冊中如有此等語豈可留置云矣
事變日記v17判之一大機關隱諱除良一一無隱直招亦傳敎推考罪人李應爀年白等前年夏間簿牒甚閒問桂德海曰汝家有可觀冊子乎德海曰有皇明通記農政全書忠武公家乘云故矣身以爲忠武公家乘吾家亦有之曾已熟見然第皆入送可也矣身卽宗室子孫代
事變日記v17可觀乎今番陳奏使見禮曹關文來到吾又問汝曰本府境內如有此等冊子則盡爲燒火云則以爲宣川境內元無此等冊子矣德海曰與如汝此酬酢果如此矣他人之冊則不見而吾家冊子中元無此等語矣
事變日記v17身以爲忠武公家乘吾家亦有之曾已熟見然第皆入送可也矣身卽宗室子孫代盡未遠故今番事不勝痛迫又見燒火關文招德海以爲如有此等冊子盡爲燒火可也皇明通記矣身文理不足故不能見唐板冊矣德海曰宣川則無憐賊冊子矣皇明通記初無
鞠廳日記v18無識其欲參酌昨見帳殿陰謪能猾放恣無嚴都着一身若無臺啓矣身將逭國法寧不憤駭於桂德海捕來之後自可遲晩正法德海自德海矣身自矣身何可遲待靜而思之此書尙在道中倫理已斁矣身之尙今偃息回首三尺興惟及此蹶然而起其何晷刻以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